농촌 고령화, 식습관 변화, 건물건축 등 다양한 요소로 해마다 ‘농도(農道)’ 전북의 논·밭들이 사라져가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전북농협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나왔다.

지난해 전북지역 경지면적은 논 12만3천683㏊, 밭 7만153㏊ 등 총 19만3천791㏊.

이는 전년도 19만5천191㏊ 보다 1천401㏊가 줄어든 것이라고 한다.

전북은 지난 2019년 경지면적(19만5천191㏊)에 있어서도 전년 대비 1.2%인 2천350h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경지면적을 보면 지난 2017년 19만9천196ha, 2018년 19만7천541ha.

이중 논 면적은 13만322ha에서 12만8천333ha, 밭 면적은 6만8천874ha, 6만9천208ha로 논과 밭 모두가 줄어들고 있는 양상이다.

이처럼 논·밭의 경지면적이 줄어든 요인은 건물건축, 유휴지, 공공시설 등이 들어선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 농가인구 감소로 인한 고령화와 쌀 소비 감소 등 식습관의 변화, 쌀 재배면적의 감소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 2010년 27만7천여 명에 달했던 도내 농가인구는 2019년 들어 20만4천여 명으로 무려 7만6천여 명 정도가 줄어들었다.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나가며 농촌 고령화율 역시 2010년 33%에서 2019년 48%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지난해 쌀 생산량도 감소했다.

쌀 생산량 감소는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에 유난히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일조시간이 감소했고 기상여건이 악화돼 완전한 낟알수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전북의 지난해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8.1% 감소한 것으로 통계청은 집계했다.

이는 15.6% 줄어든 강원에 이어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수치라고 한다.

쌀 생산량이 줄어든 것은 벼 재배면적과 10a당 생산량이 모두 줄었기 때문이다.

경지면적 감소의 또 다른 원인으로 건물건축과 공공시설 개발 등에 따른 경지 감소,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지원사업’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전북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건물 건축은 1만1천㏊, 유휴지는 3천㏊, 공공시설 2천㏊ 등이 늘어나 논·밭 경지면적 감소로 이어졌다.

논 타작물 재배지원사업은 지난 2018년부터 올해까지 추진되고 있다.

지난 2017년과 2018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3.1%, 2.3% 줄어들었으나 논 타작물 재배지원사업 추진 후 지난해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1%, 올해는 0.5% 밖에 감소하지 않아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한다.

해마다 사리지는 논과 밭의 비율이 커져가고 있어 농도 전북의 지휘마저 흔들리게 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