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임기1년남아 차질우려
스마트모빌리티협업센터 구축
공용스케이트보드플랫폼 개발
예산 3,400억 적기 지원 시급

전북 군산 상생형일자리가 최근 지정됨에 따라, 차질 없는 운영을 위한 후속조치가 절실하다.

특히 문재인 정부 임기가 1년 정도 밖에 남지 않은 만큼, 올해가 정부지원과 예산확보를 끌어올 수 있는 ‘골드타임’으로 평가되고 있어 정부를 움직일 신속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군산 상생형일자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지역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중견·벤처기업들이 힘을 모아 만들었다.

2019년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이후 1년 4개월 만의 성과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과 노사 협력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많은 일자리 창출과 침체된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감이 큰 게 사실이다.

협약에 참여한 5개 업체가 오는 2024년까지 1천7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전기차 생산을 통해 미래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상생형일자리사업의 가장 중요한 시기는 선정 이후부터다.

정부 일자리 사업 선정으로 정부지원은 확정됐지만, 명신과 에디슨모터스 등 참여기업의 상생 협력과 경연안정화, 전기차 클러스터로 조성이 로드맵대로 진행되기 위한 전략이 시급하다.

또한 설비완공과 생산준비, 신규인력 채용 등을 이끌어 내기 위한 차질없는 투자와 국가예산확보로 기업지원도 조기에 추진돼야 할 과제로 꼽힌다.

실제로 스마트모빌리티협업센터구축과 공용스케이트보드플랫폼개발, 지역투자촉진보조금 등 15개 사업을 이행하기 위해선 3천4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만큼 적기에 이를 지원해야만 차질 없는 운영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기술개발지원 등을 위한 상생펀드 조성과 상생협약이행을 위해 노동자 이사회 참관제, 공동근로복지기금조성, 우리사주제 도입, 선진형 임금체계 적용 등이 서둘러 추진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기업의 실질적인 투자와 노사간 협력이 이뤄지지 않으면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컨설팅을 통해 기업들간 공동생산 협력과 R&D협력, 인프라 공동사용, 공동인력양성, 공공마케팅과 공동 물류협력 등도 이끌어 내야만 중견·벤처기업들이라는 새로운 모델 속의 강점도 지켜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송하진 도지사 역시 8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군산형 일자리는 지엠 군상공장 폐쇄로 잃어버린 일자리 회복이 기대되는 사업”이라며 “차질없는 후속조치로 국가예산 등이 적기에 기업들에게 편성되도록 정부와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