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상생형일자리의 차질 없는 운영을 위해 후속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임기가 1년 정도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가 정부지원과 예산확보를 끌어올 수 있는 ‘골드타임’으로 평가되고 있다.

때문에 정부를 움직일 신속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군산 상생형일자리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지역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중견·벤처기업들이 힘을 모아 만들었다.

이는 2019년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 이후 1년 4개월 만의 성과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과 노사 협력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은 물론 침체된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감이 컸다.

협약에 참여한 5개 업체가 오는 2024년까지 1천7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전기차 생산을 통한 미래 산업 육성 포부를 대내외에 알렸다.

그러나 이 사업의 가장 중요한 시기는 선정 이후다.

정부 일자리 사업 선정으로 정부지원은 확정됐지만, 명신과 에디슨모터스 등 참여기업의 상생 협력과 경영안정화, 전기차 클러스터로 조성이 로드맵대로 진행되기 위한 전략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설비완공과 생산준비, 신규인력 채용 등을 이끌어 내기 위한 차질 없는 투자와 국가예산 확보로 기업지원도 조기에 추진돼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실제 스마트모빌리티협업센터 구축과 공용스케이트보드플랫폼개발, 지역투자 촉진보조금 등 15개 사업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3천4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때문에 적기에 예산이 투입되어야 각 사업들의 차질 없는 운영이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기술개발지원 등을 위한 상생펀드 조성과 노동자 이사회 참관제, 공동근로복지기금조성, 우리사주제 도입, 선진형 임금체계 적용 등이 서둘러 추진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기업의 실질적인 투자와 노사간 협력이 이뤄지지 않으면,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할 뿐이다.

새로운 컨설팅을 통해 기업들간 공동생산 협력, R&D협력, 인프라 공동사용, 공동인력양성, 공공마케팅, 공동 물류협력 등을 이끌어 내야 비로소 중견·벤처기업들이라는 새로운 모델 속의 강점도 지켜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라고 한다.

우리에게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우리는 전북의 현안사업들이 지지부진하고 장기표류해온 사실을 여러 차례 묵도해 왔다.

현 정부의 임기가 끝나가기 전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고 흔들림 없는 지원을 통해 상상형일자리의 차질 없는 운영을 이끌어 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