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청년의 자립과 지역 정착을 위해 ‘전북형 청년수당’이 지급된다는 소식이다.

이 ‘전북형 청년수당’은 농업, 중소 제조업 등 지역주력 산업에 종사하면서 도내 정착 의지를 가지고 있는 청년에게 매월 30만원씩 1년간 정착지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을 육성하고 일하는 청년의 자립과 안정적 정착을 돕기 위한 취지라고 한다.

지난 2019년 시범사업으로 첫발을 뗀 전북형 청년수당은 올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존 500명에서 1천명으로, 대상 분야도 농업, 중소 제조업, 문화예술인에 한정했던 것을, 임업·어업, 정보통신업, 연구소기업까지로 늘렸고, 소득기준도 가구기준 중위소득 120%이하에서 150%이하로 완화했다고 한다.

이미 선발된 1천 명 중 59.8%가 중소기업(제조업) 재직자로 가장 많았고, 3년 미만 취업 청년도 50.5%나 됐다고 한다.

소득별로는 중위소득 65%이하 청년이 43%를 차지, 청년들의 소득보전에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이번 청년수당은 지역산업 육성과 청년들을 돕는 취지도 있지만 지역의 우수인력들이 타 지역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당근책’으로도 보인다.

‘탈(脫) 전북’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젊은층들을 지역에 정착하게 함으로써 지역 내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 나간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정책추진이 아닌가 싶다.

경상북도도 지난 1월 ‘청년애꿈’이라는 이름의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이 역시 행정이 지역의 청년유출을 막고자 벌이는 사업이다.

청년 뿐 아니라 언택트산업 분야 중소기업이 지역 청년을 채용하면 1인당 월 200만원씩, 10개월을 지원하기도 한다.

언뜻 같은 청년수당 같지만 경북의 수당은 전북과 다른 점이 있다.

전북은 이미 지역의 주력산업에 종사한 청년, 즉 일자리를 구해 어떤 형태로든 구직에 성공한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경북은 일자리를 구하는 청년, 즉 구직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면접과 취업 성공을 위해 지원하고, 더 나아가 그 청년이 오랜 기간 그 기업에 근무하도록 근속장려 수당도 지원하는 형태다.

비슷하면서도 많이 다르다.

쉽게 말해 전북은 구직성공 청년, 경남은 구직성공 청년보다 구직 중인 청년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사업 외 다른 형태의 청년 취업지원 사업 등이 있으리란 생각이다.

그러나 청년의 자립과 안정적 정착, 이를 통한 지역 인력의 ‘탈 전북’을 막고자 하는 정책이라고 한다면,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대상자가 누구인지는 자명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