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중앙서 버텨줘
전북인맥 그나마 유지
문정부 출범 초기땐
장차관-공공기관장 등
전북인사 요직 꿰차

문정부 4년지난 전북
인맥약화 현상 뚜렷해
정세균총리 그만두면
전북 구심점 잃게 돼
예산-발전 힘못실려

부처내 전북출신 1천명
도-정치권 찰떡 협력
아낌없는 지원 성장시켜
전북 인물난 극복하고
현안해결 '공신'으로

내년 3월9일 대선이 치러지고 5월9일부터 새로운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는 이제 1년 정도 남은 셈이다.

전북의 중앙 인맥은 문재인 대통령 출범 초기에 비해 크게 약화됐다.

당정청 즉 여권의 핵심인 당과 청와대 그리고 정부 인사에서 전북의 비중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인맥 약화가 지속되면 전북 현안 추진에도 장애가 될 수밖에 없다.

앞으로 남은 1년, 전북도와 정치권은 전북 인맥 강화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
/편집자주



/ 장차관, 청와대 등 핵심 요직 빠르게 약화 /

‘사람이 자산이다.’

정치권뿐만 아니라 보통 시민들의 사회생활에도 ‘적용’되는 말이다.

일반인은 물론 지역 또한 탄탄한 인맥 그리고 힘있는 인사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야 빨리, 내실있게 발전할 수 있다.

현재 전북 인맥의 정점은 정세균(SK) 국무총리다.

문 정부 출범 4년이 지난 지금 범전북을 상징하는 이는 정 총리다.

정 총리가 중앙에서 버티고 있어 전북 인맥이 그나마 유지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정 총리 이후를 적극 대비해야 한다는 게 요즘 도민들의 주문사항이다.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전북 인맥은 크게 부상했다.

이전의 이명박-박근혜 보수정권에 비하면 진보정권이 들어선 이후 전북은 인사 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문 정부 임기 1년을 남겨놓은 요즘에는 전북의 인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전북의 중앙 인맥이 매우 풍성했다.

‘차관풍년시대’는 말이 돌 정도로 정부의 실무적 총괄책임직인 차관 자리에 전북인이 대거 포진했다.

출범 이후 약 20여명의 차관(급) 인사가 발탁됐다.

심보균 행안부 차관, 조현 외교부1차관, 권덕철 복지부 차관, 황수경 통계청장, 이철우 새만금개발청장, 라승용 농촌진흥청장, 노형욱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심덕섭 국가보훈처차장, 최수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김종진 문화재청장, 김양수 해수부 차관, 김희경 여성가족부 차관, 정병선 과기정통부1차관,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유연상 대통령실 경호처장 등이다.

현재는 정병선 과기부 차관,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유연상 대통령실 경호처장 등이 활동 중이다.

차관(급) 인사가 전북 인맥 약화 현상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만일 범전북을 상징하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직에서 내려오면 전북 인맥은 구심점을 잃게 될 수도 있다.

정 총리가 총괄하는 정부부처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있다.

장관(급)으로는 코로나19 대책에 전념 중인 권덕철 장관과 한국수출입은행장을 지낸 군산 출신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활동 중이다.

전북의 장관(급) 인사 역시 문 정부 초반기에 비해 크게 약화됐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 등이 장관(급)을 역임했다.

김현미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총애를 받았지만 부동산 정책 논란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공공기관장 인사도 요즘에는 약세다.

정권 출범 초중반에는 이강래 한국도로공사 사장, 최규성 한국농촌공사 사장, 김성주 국민염금공단 이사장, 이상직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오영식 코레일 사장 등이 자리를 빛냈다.

이중 김성주, 이상직 두 인사는 21대 전주지역 국회의원으로 선출됐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국민들의 일상과 직간접 연관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곳이다.

전북 인맥이 어느 정도 포진하고 또 핵심에 있느냐에 따라 지역 발전 속도가 달라진다.



/ 중앙부처 인맥 강화에 도-정치권 힘 쏟아야 /

중앙부처 인맥은 전북 발전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다.

중앙 인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 특히 국가예산을 잡고 있는 기획재정부 라인을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핵심이다.

2021년 현재 전북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당정청 전반에 걸쳐 인맥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문재인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청와대의 경우에도 전북 라인이 매우 약해졌다.

청와대는 당정청 중에서도 파워가 가장 센 곳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에는 청와대내 수석비서관에만 전북 출신이 3명이나 있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한병도 정무수석, 김거성 시민사회수석 등이었다.

여기에다 다수의 비서관도 포진했다.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최강욱 공직기강비서관, 정읍 출신 은수미 여성가족비서관, 김우호 인사비서관, 김금옥 시민사회비서관 등이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21대 국회에 들어갔다.

지역구 또는 비례대표 국회의원인데 윤영찬, 한병도, 진성준, 최강욱, 김의겸 의원 등 모두 5명이나 된다.

또 은수미 비서관은 현재 경기도 성남시장으로, 김우호 인사비서관은 인사혁신처 차장으로 자리를 옮겨 활동 중이다.

전북으로서 아쉬운 대목은 이들이 떠나간 빈 자리에 전북 출신이 없다는 것이다.

후속 인사에서 범전북이 발탁돼야 전북 발전을 위한 연속성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현재 청와대내 전북 출신 주요 인사로는 유연상 대통령실 경호처장, 김재준 춘추관장 정도다.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전북의 사정은 비슷하다.

문재인 정부 초에는 정세균 국회의장, 백재현 국회 예결위원장 등이 있었지만 요즘엔 국회 고위직에서도 전북 부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문재인 정부 임기를 1년 안팎 남겨놓은 요즘, 전북의 최대고민은 당정청 등 중앙에서의 인맥 약화다.

아직까지는 정세균 국무총리를 정점으로 국정 전반에 전북 목소리를 전달하고 힘을 낼 수 있지만, 정 총리가 4.7 재보선 이후 총리직에서 내려온다고 예상하면 그 이후는 큰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실제 정 총리 이후 누가 전북을 이끌어갈 중심인물이 될 것인지 어중간한 상태다.

중앙에서 전북 목소리를 챙겨야 하는데 SK 같은 중진 거물이 없다.

결국은 전북도와 정치권의 유력 인사들이 탄탄한 팀웍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팀웍을 구축해 인물난을 극복해야 하는 것.

정세균, 정동영 등 전북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정치인이 당분간 없다는 점에서 도-정치권이 더욱 끈끈한 협력체제를 가동하는 게 최선이다.

문재인 정부의 남은 1년간, 전북도와 정치권이 가장 크게 신경써야 할 부분은 정부 인사다.

정부부처 공무원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대부분 정년까지 일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부처 내에 있는 전북 출신 공무원들을 최대한 챙기고 지원하고 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이 역할은 전북도-정치권이 해야 한다.

전북도가 집계한 중앙부처의 전북 출신 주요 공무원 수는 지난 연말 기준으로 900명 선이다.

국회 사무처와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까지 합하면 1,000명을 조금 넘는다.

대체로 5급 이상 공무원이다.

주요 부처별로 보면 국회가 70여명, 감사원 36명, 국무조정실 21명이다.

그리고 기획재정부에 66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25명, 외교부 6명, 통일부 5명, 행정안전부 156명, 문화체육관광부 50명, 농림축산식품부 81명, 산업통상자원부 60명, 보건복지부 59명, 환경부 47명, 고용노동부 26명, 여성가족부 8명, 국토교통부 59명, 해양수산부 44명, 중소벤처기업부가 31명이다.

이어 국가보훈처 17명, 인사혁신처 24명, 소방청 14명, 문화재청 13명, 농촌진흥청 67명, 산림청 20명, 새만금개발청 31명 등이다.

이들은 전북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자원이다.

도와 정치권이 국회 상임위 소관 부처 등으로 분류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이들을 성장시켜야 한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