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서 개인이 곳곳을 돌아다니며 작성하는 출입명부.

본보는 우리가 무심코 작성하는 출입명부에 대한 도민들의 분위기, 그리고 개인정보가 어떻게 유지·관리되고 있는지 사회면 톱기사로 다뤘다.

최근 중화산동의 한 음식점을 방문한 20대 직장인은 점원으로부터 출입명부 작성을 요청 받고, 명부에 이름, 연락처,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려다 빼곡히 적혀있는 방문자 정보에 놀랐다고 한다.

이름과 전화번호는 물론 주민등록번호까지 적혀있는 걸 보고 누군가 내 정보를 악용할 수도 있겠다 싶었던 것이다.

관리를 누가 하는 건지 명확하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 보관되는지도 알 수 없어 불안한 것이다.

지난해 6월부터 코로나19 방역대책을 위해 클럽, PC방, 술집 등에 도입한 QR코드 전자출입명부가 일상화됐지만 여전히 수기명부를 작성하는 곳이 많다.

이런 가운데 수기명부 관리‧감독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한다.

실제로 지난해 9월 서울 종로구 익선동의 한 음식점에서 손님인 척 가장해 출입자 명부를 휴대전화로 촬영한 2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당시 이 남성은 출입 명부를 촬영하는 것을 발견한 식당 직원이 "사진 찍지 마라, 지워 달라"고 말하자 달아났지만 직원은 도망치는 그를 뒤따라가 잡은 뒤 경찰에 넘겼고, 결국 이 남성에게는 구속영장이 신청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하는 취지는 이해되나, 사생활을 침해당하는 이런 방법을 꼭 써야하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이다.

이 제도에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휴대폰이 없는 사람의 경우, 있어도 전자출입명부와 관련한 IT지식이 없는 이들은 지속해서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가 한 시기에 유행하는 것도 아니고 앞으로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매번 노출해야하는 개인정보가 현 상황에서 정답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하고 있다.

출입명부가 방역의 한 수칙으로 규정되면서도 얼만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파기되어야 하는지, 또 그 형태는 어때야 하는지 등 세부적 사항이 나오지 않아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공적 목적으로 쓰이는 전자출입명부의 확대를 위해 지자체는 물론 정부가 적극 나서 예산을 지원하교 다양한 교육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조심씩 풀어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