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유치 확정으로 전북이 수소산업육성시스템을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그린 수소활용기반 조성은 물론 수소모빌리티산업 융합을 선점하고 수소연료전지보급, 농어촌 수소특화선도, 전문인력거버넌스 등도 확립할 수 있는 이점들이 한꺼번에 생긴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연관기업 유치를 위한 직접화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일단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는 각종 수소용품의 검사와 수소산업 안전 분야를 책임지는 핵심 기관으로 수소추출기와 수전해 설비, 수소 연료전지, 수소용품 제조설비 등의 검사와 수소용품 평가·인증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여기에 수소안전 전담기관인 수소안전기술원도 함께 입주하며 상주 인력도 120여 명에 달할 전망이다.

이 센터가 들어서면 앞으로 수소산업진흥원 유치도 유리해질 뿐 아니라 수소관련 기업 입주로 미래 성장동력인 수소산업 집적화, 그리고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 등 그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같은 장밋빛 청사진을 현실로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과제도 많다.

우선 당장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유치를 계기로 ‘수소기업 집적화’가 큰 과제다.

국내 수소기업들의 5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이들 기업을 끌어오고 국가 성장 동력을 창출함은 물론 균형발전도 함께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수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수소기업과 각종 연구기관 등을 담을 새로운 그릇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완주군은 이미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된 바 있고, 전국 최대 규모의 수소충전소까지 갖추고 있다.

지난해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 기본구상 용역’을 발주하고,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 주요 사업으로 반영하는 등 현안 추진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이번 센터의 승수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과 함께 수소용품 안전기반 구축, 한국수소산업진흥원 설립이 우리지역에 유치해야하는 게 큰 과제다.

이와 관련, 지역의 경제 전문가들은 수소 산업군의 앵커기업, 즉 선도기업을 배치하고 연관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등을 집적화하는 ‘수소특화산단’을 하루 빨리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를 통해 수소산업진흥원과 수소안전기술원 등 정부기관도 전략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센터 유치 확정을 계기로 전북이 수소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어떤 조치들이 이행되어야 하고, 또 그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고민해 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