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월평균 임금 337만원
대기업比 59.4% 불과 수준
근속기간 짧고 연령층 높아
임금상승-장기재직대책시급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과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중소기업의 근로자에 대한 투자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대기업과의 격차가 확대, 이는 결국 중소기업 경쟁력 악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기 때문.

이는 특히, 전체 기업 중 중소기업 비중이 99%인 전북의 경우 일자리 창출 활성화, 청년의 탈전북화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기도 하다.

21일 중소기업연구원 노민선 미래전략연구단장은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 변화 분석(1999~2019)’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5인~499인)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은 2019년 기준 337만7천원으로 500인 이상 대기업(569만원)대비 59.4%에 불과한 수준이다.

1999년(71.7%)보다 12.3%p 하락,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된 것이다.

이어, 중소기업 규모(2019년 기준)를 더욱 세분화할 경우 종업원 규모가 작아질수록 대·중소기업 간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5∼9인 기업(285만8천원)의 경우 대기업 대비 50.2%에 불과한 데 이어 10∼99인 기업(331만1천원)은 58.2%, 100∼499인 기업(399만7천원)은 70.3%에 그쳤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5∼9인 기업(5년)은 대기업보다 5.7년 짧았으며, 10∼99인 기업(5.7년)은 5년, 100∼499인 기업(7.6년)은 3.1년 정도 짧았다.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대기업 대비 높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5∼9인 기업(44.5세)은 대기업 대비 5세 높았으며, 10∼99인 기업(43.4세)과 100∼499인 기업(41.4세)은 각각 3.9세, 1.9세씩 높았다.

결국,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가 확대, 이는 중소기업의 근로자에 대한 투자 여력이 위축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노 단장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과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소기업이 인재를 확보, 구인난 해소는 물론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사업 추진 성과공유제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우대규정 마련, 내일채움공제의 정부 매칭 추진은 물론 중소기업 고졸 취업(예정)자의 성장경로 확충, 기술 기반의 혁신 일자리에 청년과 여성 인력의 참여 확대 등을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도내 일자리 지원기관에서도 이 같은 내용에 공감, 특히, 기업 구조상 중소기업 비중이 큰 전북에서는 중소기업으로 인재가 유입되기 위해서라도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해소, 즉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청년층이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로 중소기업의 ‘낮은 임금’을 꼽기 때문이다.

더욱 이는 청년층의 탈 전북화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결국은 중소기업의 구인난으로도 이어지게 만든다는 점 역시 이유다.

여기에 젊은 층의 탈 전북화로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중소기업 근로자 역시 고령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 역시 중소기업 근로여건 개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백승만 전주상공회의소 전북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사무국장은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임금 격차가 확대되는 가운데 청년들의 경우 낮은 임금을 주는 중소기업 대신 대기업을 선택, 이를 위해 전북을 떠나고 있다”며 “이를 중소기업에서도 인식하지만 현실적인 한계로 이를 개선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중소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라도 이에 대한 지원 정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