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저임금 ‘악순환 고리’ 만든다.

중소기업의 저임금이 ‘청년 탈(脫) 전북’을 재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본보는 이 같은 문제를 경제면 톱기사로 비중 있게 다뤘다.

코로나19 사태로 중소기업의 근로자에 대한 투자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대기업과의 격차가 확대되고 이는 중소기업 경쟁력 악화를 초래하는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전체 기업 중 중소기업 비중이 99%인 전북의 경우 일자리 창출 활성화, 청년의 탈전북화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진단도 내놓았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중소기업연구원 노민선 미래전략연구단장의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 변화 분석(1999~2019)’ 보고서를 통해 표면화 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5인 이상, 5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은 2019년 기준 337만7천원으로 500인 이상 대기업(569만원)대비 59.4%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는 1999년(71.7%)보다 12.3%p 하락한 것으로 대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는 것이다.

중소기업 규모를 더욱 세분화할 경우 종업원 규모가 작아질수록 대·중소기업 간 차이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5∼9인 기업(285만8천원)의 경우 대기업 대비 50.2%에 불과한 데 10∼99인 기업은 58.2%, 100∼499인 기업은 70.3%에 그쳤다고 한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 역시 대기업에 비해 짧은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대기업 대비 높은 수준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결국,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의 확대는 중소기업의 근로자 투자 여력이 위축됐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에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과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소기업이 인재를 확보, 구인난 해소는 물론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청년층이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로 중소기업의 ‘낮은 임금’을 꼽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임금을 많이 주는 수도권 지역으로의 청년 탈 전북화를 심화시키고, 이는 다시 고령화를 가속화 시키며 지역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중소기업 비중이 99%에 달하는 전북의 특성상 중소기업 근로여건 개선이 왜 중요한지를 잘 말해주는 데이터가 아닌가 싶다.

관련 당국은 보고서가 시사하는 바를 정책에 충분히 반영해 지역의 탈전북화 문제를 풀어가는 데 좋은 지침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