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추진해온 신규 철도건설 계획의 대부분이 무산된 것으로 나타나며 도민들의 실망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 한국교통연구원이 공청회를 열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시킬 114조 규모의 신규 사업안을 내놓았다.

일명 ‘비수도권 광역철도’다.

그러나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 사업 중 전북과 관련한 사업은 전라선 고속화 사업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전북도는 그동안 동서교류와 화합을 내세워 전주-김천선을 적극 요구했고, 식품클러스터 인입선, 새만금-목포선 등 6개 사업을 요청했지만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추가 검토 사안으로 분류됐다.

이번 정부 결정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은 ‘전주-김천선’ 사업이다.

전북은 동서횡단철도 건설이 지지부진하자 지난 2015년부터 경북과 함께 정부 설득에 나서왔다.

하지만 번번이 국가철도망구축 계획에서는 경제성 부족 문제로 인해 추가 검토대상 사업으로만 반영돼 사업추진이 실현되지 못했다.

그동안 국내의 고속도로와 철도가 대부분 남·북 방향으로 건설되고 동·서 방향의 교통망은 취약해 영남과 호남 간 교류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지역화합에도 장애 요소가 되어 왔다.

이에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이를 반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노력해 왔으나 또다시 좌절됐다.

다만 익산과 전남 여수를 잇는 전라선 고속화 사업 1개만 기존 철도의 선형을 개선하는 수준으로 반영되는 데 그쳐 아쉬움을 남겼다.

정부는 이번 4차 계획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 문제를 해소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고 한다.

또 이를 통해 광역경제권 주요 지점을 1시간 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광역경제권 기반을 마련하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과연 그럴까 여느 사업과 마찬가지로 경제성부터 따지는 데 지방권 소멸문제 해소라니 ‘어불성설’이다.

특히나 이 철도망 구축계획이 실망스럽기 그지없는 이유는 ‘전북소외’에 있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하고 강원권과 대구·경북권, 충청권, 광주·전남권, 부산·울산·경남권 등 전국의 모든 광역자치단체가 이번 비수도권 광역철도 도입계획에 포함 됐는데 전북만 제외됐다.

동서남북으로 광역자치단체간 철도가 생기며 기존 1시간에서 2시간 이상 걸리던 거리가 적게는 30분, 많아야 1시간 내로 축소된다.

그러나 전북에서는 어디에서도 이런 혜택은 주어지지 않는다.

적어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해당연도인 2030년까지 말이다.

지역의 특수성이나 형평성은 고려하지 않은 채 경제논리만 따지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지역의 정치권은 지금 어떤 대책들을 강구하고 있는 것일까?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