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소멸’이라는 기정사실화된 미래를 앞두고 자치단체별로 ‘농촌재생’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농도 전북 역시 예외일 수 없다.

전북 역시 최근 이런 농촌소멸에 맞서 다양한 농촌 재생 프로젝트에 팔을 걷고 나섰다.

이름 하여 ‘햇살 가득 농촌 재생프로젝트’다.

농촌의 다섯 가구 미만 과소화 마을 주민들 중 이주를 희망하는 농민들을 인근 거점 마을로 이주시키는 전국 최초의 사업이다.

도내 농촌지역은 시군별 과소화가 상당부분 진행되고, 일부 마을의 경우 소멸위기까지 거론되자 도 농정당국이 새로운 대안을 내놓은 것이다.

실제 전북은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를 제외한 나머지 13개 시·군이 모두 마을 소멸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도내 20가구 미만 과소화 마을은 무려 951곳에 달한다.

이는 전체 마을의 18%에 이른다.

시군별로는 진안이 30%로 과소화 마을 비율이 가장 높고, 순창이 27%, 정읍 24%, 김제·부안이 23% 순으로 뒤를 잇고 있다.

도는 농촌지역이 급격한 인구감소로 과소화마을까지 전국에서 가장 많다는 점에 착안, ‘거점형 주거통합 마을정비’ 사업에 나서게 됐다.

이번 사업은 주거 이전, 의료·복지, 일자리 등을 집약하는 일종의 압축거점마을 형성을 뼈대로 하고 있다.

50가구 이상 거점 마을 반경 1㎞ 이내에 있는 5가구 미만 과소화 마을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쉽게 말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작은 단위 마을 사람들을 이주시켜 시설이 잘 갖춰진 마을로 사람들을 모으는 개념이다.

주거통합 거점 마을에는 주거·문화·의료 및 보건진료소, 마을회관 등 공공시설, 정보통신, 금융, 물류 등 다양한 서비스가 통합 제공된다고 한다.

또 거점마을의 부족한 의료‧복지‧문화시설 등을 확충해 기능 집약화로 통합 복지 서비스 제공과 일자리 창출과 농촌지역 공동체의 복원도 꾀할 예정이라고 한다.

도는 이들 3개 사업지역을 선정해 한 곳당 10억 원의 도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우려되는 바도 없지 않다.

사람은 물론 의료와 복지, 일자리 등 모든 것이 잘 갖춰진 곳으로 몰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반대로, 자신이 나고 자란 터를 떠나기 쉽지 않은 것도 사람의 속성이다.

특히나 농촌 어르신들은 더욱 더 그러하다.

십 수 년, 때로는 몇 대를 걸쳐 나고 자란 곳을 등지고 이주하는 일은 더욱 더 그렇다.

그들을 위한 것은 물질이 아닌 어떤 다른 것이어야 한다는 점은 이후 풀어야할 숙제가 아닐까 싶다.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도 농정당국의 이번 프로젝트가 농촌소멸 문제의 성공적 대안을 찾고 모색할 수 있는 실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