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준 경제력지수 5.30
17개 시도중 최하위 불명예
취업여건-소득수준 등 하회
"산업구조전환 시급" 지적

전북의 경제력지수가 전국에서 ‘꼴찌’를 기록했다.

특히, 장기간 최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타 시도보다 심각한 경제적 낙후 현상이 지속, 이에 경제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산업구조 전환 노력은 물론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산업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전북경제가 지역내총생산(GRDP)과 인구측면에서 대체로 낙후된 만큼 경제력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지표를 선출해 타 지역과 비교·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전북지역 경제력지수 및 균형발전 현황(조사연구자료)’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도내 경제력지수는 5.30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경제력지수는 산업연구원 등 선행연구를 참고해 산출, △소득수준 △산업발전 △인력기반 △취업여건 △SOC 및 재정력 등 5개 부문의 총 15개 지표로 구성됐다.

부문별로는 취업여건(6.26)만이 평균(6.00)을 상회, 인력기반(5.04), 소득수준(5.10), SOC 및 재정력(5.22), 산업발전(5.38) 등은 모두 하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9개 도와 비교했을 때에도 모든 부문에서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소득수준을 알 수 있는 도내 GRDP는 2019년 51조8천억원으로, 전국의 2.7%에 불과, 1인당 GRDP도 전국(3천721만원)의 77%수준인 2천874만원이다.

재정자립도는 20.4%로 17개 시·도 평균(41.6%) 대비 절반 수준으로, 이는 대기업 수가 적고 농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 낮은 1인당 지역총소득 및 인구감소세로 인해 세수기반이 취약함에 따른 것이다.

인구 역시, 1966년 252만명에서 2020년 180만명으로 감소, 인구증가율은 2019년 기준 –1.0%로 17개 시·도 중 16위다.

더욱이 전북은 지난 2000년에도 16개 시·도 중에서 16위(5.08)를, 2010년에도 5.23으로 강원과 함께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경제력 지수가 미약하나마 상승했지만 순위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전북의 경제력은 장기간 전국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제적 낙후 상황, 즉 경제적 불균형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타 시도 대비 심각한 경제불균형이 지속될 경우 전북경제는 자칫 저발전 함정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이에 전북경제가 성장궤도로 진입하기 위해 우선, 경제환경 변화에 맞춘 산업구조 전환이 시급하다고 한은 전북본부는 지적했다.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지역별 산업구조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가운데 전북은 전국대비 낮은 비중을 보유한 산업에서만 성장한 데다 특정 사업에 특화돼 산업구조가 경직되고 외부 충격에 낮은 탄력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위해 경제적 불균형을 극복한 충남 및 충북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탄소산업진흥원 설립,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유치 등과 같이 잠재적 성장성을 갖춘 산업을 사전에 발굴해 선점, 외부 의존적 성장전략에서 벗어나 실효성 있는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하고 유효수요를 확보할 수 있는 양적 기반 마련 등을 경제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ICT 산업이 상장과 더불어 코로나19 사태 이후 언택트 기술이 일상에 보편화됨에 따라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빨라지는 추세다. 이로 인해 지역 간 경제력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지식기반 기업의 입지특성 및 수요를 고려한 유인제공과 우수인력을 육성하는 등 경제기반을 전반적으로 성숙시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