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인당 지역총소득과 1인당 개인소득이 전국 평균을 밑돌며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소식이다.

특히 도민 10명 중 6명은 주관적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소비생활에 있어서도 불만족스럽다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이는 최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조사내용으로 2019년 도내 1인당 지역총소득은 2천826만원.

2010년 대비 903만4천원(47.0%)정도 증가했다.

그러나 전국 평균(3천753만원)을 크게 하회하며 전국 평균대비 75.3% 수준에 불과했다.

17개 시·도 중 대구 다음으로 낮은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1인당 개인소득은 1천872만5천원으로, 이 역시 전국 평균보다 167만5천원 낮은 데다 전국 평균대비 91.8% 수준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경북·전남 다음으로, 여전히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2010년 대비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 41.9%로 집계됐다.

결국,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이 무너지면서 도내 1인당 지역총소득·개인소득 모두 2010년 대비 전국 평균 증가율을 상회하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 위주의 구조에서는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다시 말해 대기업 비중이 작은 데다 열악한 경제기반이 이어지고 있어 소득 규모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의미다.

는 셈이다.

이로 인해 가구생활에 필요한 최소금액 대비 가구 실제 소득수준인 ‘주관적 소득수준’에 대해 58.1%가 ‘부족하다’고 꼽았다.

‘여유 있다’는 겨우 10.1%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평균(10.8%)보다 0.7%p 낮은 수치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19세 이상 인구 중 소득이 있는 81.6% 중 43.5%가 본인의 소득에 대해 ‘불만족하다’고 응답했다.

문제는 소득 수준이 소비, 건강 등 삶의 만족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인구와도 직결된다는 점.

젊은 층의 탈 전북화의 주원인이 ‘괜찮은’ 일자리 부족이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

이로 인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산업지형 재편을 서둘러 추진, 중견기업 유치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하는 등 소득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경제 체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경제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번 데이터는 전북의 경제가 여전히 열악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때문에 친환경자동차, 탄소 등 미래 먹거리산업 중심으로 산업지형 재편을 서두르는 등 경제체력 강화를 위해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