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속에서 전북지역의 지난해 농가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농가부채 증가 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소식이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2020년 농가경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가소득은 4천428만4천원으로 전년 보다 7.4% 늘어났다.

하지만 같은 해 농가부채 또한 2천609만4천원으로 전년 2천353만4천원 보다 10.8% 늘어 농가소득 상승 비율을 앞섰다고 한다.

농가소득은 통계에 잡힌 전국 9개 도 가운데 4위를 유지했다.

최근 5년간 증감을 거듭한 농가소득은 지난 2016년 3천687만여원이었다가 2017년 3천500여만원으로 줄어든 뒤 2018년 다시 4천500여만원으로 늘었다고 한다.

이후 2019년 4천100여만원으로 소독 감소한 뒤 지난해 4천400여만원으로 늘어났지만 지난 2018년 농가소득 수준은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전북의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공익직불제 도입에 따른 소득 증가, 쌀값 등 농산물 가격 안정, 재해보험금 등 경영안정 지원 강화로 농업총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공익직불제 도입 이후 전년 대비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이 늘어났고 평균 지급액과 건수도 도입 전과 대비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무엇보다 0.5ha 이하 농가들에게 연 120만원을 지급하는 소농직불금은 중·소규모 농가소득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소득 다각화를 위한 농촌관광 등 농업외소득도 한 몫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지난해 농가부채가 농업소득과 함께 덩달아 증가했다는 점.

전북의 농가부채는 최근 5년을 놓고 볼 때 2016년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2016년 2천818만3천원이던 농가부채는 2017년 2천577만2천원으로 감소했으나 이듬해인 2018년 2천534만1천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 2019년 2천353만4천원으로 소폭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난해 농가부채는 2천609만4천원으로 10.8% 늘어나 같은 해 농업소득 증가 폭을 앞섰다.

이처럼 농가소득은 늘어났지만 부채 증가 폭이 더 크게 벌어진 가운데 연 소득 5천만원 달성에도 여전히 빨간 불이 들어와 있는 상태다.

도내 농업계는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농도 전북의 위상을 살리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시각이다.

재투자의 개념이라 할지라도 어찌되었건 ‘부채’는 곧 ‘빚’이다.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밑 빠진 독’에 물을 붙는 일은 힘 빠지는 일이다.

소득도 소득이지만 덩달아 뛰는 농가들의 부채를 잡을 실질적인 대책들이 나와야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