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 RE300 용역결과 보고

수요 100% 재생에너지대체
200%초과생산 수도권 공급
2034년-2050년 1-2단계 완성
송지사, 에너지 소득과 연계

31일 서울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2층에서 열린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공동체사업 사전용역 결과보고회에 송영길 당대표, 문승욱산업부장관, 송하진전북도지사를 비롯한 광주광역시장, 전남도지사 및 관계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경제 공동체(RE300)을 위한 기술적 검토 및 환경분석 등 실행계획, 기대효과에 대하여 보고회를 갖진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31일 서울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2층에서 열린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공동체사업 사전용역 결과보고회에 송영길 당대표, 문승욱산업부장관, 송하진전북도지사를 비롯한 광주광역시장, 전남도지사 및 관계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경제 공동체(RE300)을 위한 기술적 검토 및 환경분석 등 실행계획, 기대효과에 대하여 보고회를 갖진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전북도와 광주 전남 등 호남의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호남 초광역 에너지 경제공동체(호남 RE300)’ 청사진이 31일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공개됐다.

호남권 최초의 초대형 경제공동체 프로젝트로 꼽히는 ‘호남 초광역 에너지경제공동체 프로젝트’ 용역 결과보고회에선 ‘호남 RE300’ 성공을 위한 핵심 키워드로 ‘초광역에너지망’의 중요성이 제기됐다.

현재 전력망과 같이 재생에너지 전원 공급망과 저장수단이 부족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에만 치중할 경우 최근 제주도 사례처럼 오히려 발전을 제한할 수도 있어서다.

호남 RE300은 에너지 수요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200% 초과 생산분은 최대 에너지 수요처인 수도권 등에 공급하는 것으로 에너지 자립과 초과 판매분에 대한 이익을 도민과 공유하는 에너지경제 공동체 구축 프로젝트다.

특히 오는 2050년까지 호남이 지역 전력사용량의 300%를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생산하겠다는 담대한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과 전력자립망 구축, 이익공유 시스템 설계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날 용역보고회는 호남 RE300의 구체적인 실행, 투자계획과 기대효과 등을 조사 분석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과 3개 시도당 및 3개 광역단체가 공동으로 기획 주관했다.

보고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 윤호중 원내대표, 박완주 정책위의장, 홍익표 민주연구원장 등 당 지도부와 호남지역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송하진 전북지사,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 등 호남권 광역단체장과 시도당위원장 그리고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환 한국전력 사업총괄부사장, 임춘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 등이 참석했다.

용역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2034년 RE100 달성, 2050년 RE300 달성 등 총 2단계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RE100’은 2034년까지 호남 지역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초광역에너지망을 구축하는 계획이고 ‘RE300’은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실현에 맞춰 RE100으로 기반을 구축한 초광역에너지망을 완성하는 단계다.

현재 호남권은 권역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1위로 전국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34년 RE100 달성 시 46%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비해 재생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전력망 구축 계획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날 보고회에서 송하진 도지사는 “광주, 전남과 함께 새만금과 신안의 바람과 태양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지역민의 소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찾고,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판 뉴딜을 성공시켜 서남권 광역경제권의 도약을 준비하겠다” 고 말했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은 “호남 에너지공동체 RE300은 가장 낙후지역인 전라도에서 탄소중립사회로 가는 길을 여는 선도사업이자 새만금을 그린뉴딜 중심지로 만듦으로써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호남 RE100 투자계획 규모는 2034년 기준 재생에너지 전원 확대에 약 142조 6,417억원, 초광역 에너지망 구축에 60조 6,941억원 등 국비 및 민간자본 포함 총 203조 3,358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생산유발 효과 387조 6,862억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132조 9,966억원, 취업유발 효과 150만 6,439명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