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공정무역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전주다움의 지역형 공정무역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정무역마을 인증은 한국공정무역마을위원회에서 공정무역을 모범적으로 실천한 도시를 대상으로 기준 충족에 대한 심사를 통해 부여하고 있다.

현재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중심으로 12개 도시가 인증을 받았으며,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전주시가 처음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공정무역 제품사용 및 판매처 실태조사’ 결과, 국제공정무역 마크와 한국공정무역협의회에 소속된 공정무역단체의 제품을 사용하고 판매하는 곳은 총 27곳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이는 개인과 법인, 협동조합 형태의 판매처 기준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무역 커피원두를 이용해 음료를 판매하는 카페가 총 6곳이며, 공정무역 제품을 판매하는 곳은 17곳, 공정무역 제품 사용 및 판매가 모두 이뤄지는 곳은 4곳이라고 한다.

공정무역마을 인증을 받기 위한 5가지 기준 중 ‘지역 매장의 접근성 확장’ 기준을 충족한 것이다.

인구 2만5천명 당 1곳의 판매처를 확보해야 하는데 전주시의 경우 인구가 66만5천732명인 만큼 제품 사용과 판매처를 최소 27곳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계산이다 27곳에서 사용 및 판매되는 제품은 세계공정무역기구(WFTO)와 국제공정무역기구의 인증 받은 제품 133개와 공정무역 단체를 통해 유통되는 53개로 조사됐다.

이어, 나머지 기준 가운데 전주시는 공정무역위원회 구성을 제외한 지방의회 지지, 다양한 공동체에서 공정무역제품 활용, 교육 및 캠페인 활동 등 3가지를 충족한 상황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인증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공정무역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는 여전히 조성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한다.

그런 만큼 소비자들이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수도권을 제외하고 지역에서 최초로 추진하는 만큼 지역형 공정무역 모델의 개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정무역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가치 확산에 집중, 공정무역 상품이 소비로 연결될 수 있도록 판매처 확대 등이 추진돼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무엇보다도 전주가 지역 최초로 추진하는 만큼 전주의 모델이 지역형 공정무역의 모델을 선도한다는 강한 책임감으로 사업에 임해주기를 당부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