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투자형 발전 사업을 놓고 시작된 자치단체와 새만금개발청 간 갈등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가 새만금 관련 자치단체들과 협의체를 구성하고 나섰다.

도가 조정자 역할을 하면서 새만금 조기개발을 위해 갈등을 풀어보겠다는 것이다.

송하진 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박준배 김제시장, 권익현 부안군수는 지난 7일 전북도청에서 ‘새만금 권역 자치단체 간 공동 합의문’을 발표했다.

새만금 개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도와 도내 3개 시·군이 힘을 모으기로 한 것.

이들은 ‘새만금 권역 행정협의회’도 구성, 분기별로 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협의회의 사무 범위, 운영 절차, 규약 제정 등 구체적 논의를 위해 실무행정협의회도 꾸리기로 했다.

실무행정협의회는 전북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과 시·군별 국장급으로 구성하고 새만금33센터에 사무소를 설치키로 했다.

그러나 단체장들의 임기가 1년 밖에 남지 않아, 민선7기 내 성과를 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재선을 통해 재입성할 수 있지만 업무공백은 불가피하다.

물론 부단체장이 권한대행을 맡아 행정처리가 가능하지만 적극적 행정보다는 관리형, 현상유지 행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

중요 정책 결정에 있어서는 결국 선거 후 단체장 입성 후 가능할 것이라는 것.

정치적 사안은 차지하고라도 새만금 관련 자치단체 소속 행정 실무자들간 교류가 이루어지고 논의의 장이 만들어 졌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지녔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번 합의는 1987년 새만금사업 시작 이래 광역행정 차원에서 전북도와 3개 지자체가 한 뜻을 모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각 자치단체별로 새만금사업은 그 지역의 발전과 이해가 밀접하게 얽혀 있다.

특히 새만금에 인접한 부안·김제·군산지역은 모두 다 과거부터 생활, 문화, 사회, 행정, 역사적으로 모두 새만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지역들이다.

그래서 모두 주도권을 쥐고 가려하고, 그래서 한 치의 양보도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저마다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개발청은 개발청 나름대로의 계획들을 가지고 있고, 때문에 이들의 이해를 충족시키고 조정하기란 말처럼 그리 쉬운 게 아닌 것이다.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것이다.

이날의 협의체는 그저 첫발을 뗀 것일 뿐이다.

어렵더라도 모든 것은 논의와 조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 논의와 조정은 앞으로 수없이 지루하게 펼쳐질 것이다.

때론 협의체가 파기될 몇 번의 위기가 닥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는 합의를 위한 산고의 고통정도로 생각하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