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신영대 국회의원의 공개 입장문으로 촉발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구성문제.

그리고 그 이면의 갈등으로 회자되고 있는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의 ‘독단 운영’이 연일 언론의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본보 역시 이번 도당의 내홍사건을 다루며 21대 국회 출범 초 다짐 되었던 ‘전북 원팀’정신이 와해 되서는 안 된다.

다시금 원팀 복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의 기사를 정치면 톱기사로 다뤘다.

특히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통해 전북 파워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내 의원들이 수시로 모여 ‘전략’을 숙의하고 대선 경쟁의 주도권을 잡아 나가도 모자랄 판인데 ‘각자도생’은 힘의 약화만을 가져올 뿐이다.

무엇보다도 선출직 평가위가 내년 지방선거 공천의 칼을 쥐고 있다는 점에서 의원들간 심도 있는 재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 마당이다.

이번 신 의원의 도당 당직 사퇴와 강한 유감 표명은 단순히 위원회 구성문제에만 국한하지 않는다는 게 중론이다.

물론 문제의 촉발은 평가위 구성의 문제지만 근본적인 것은 이전에 적잖이 쌓여 있었던 감정의 골, 더 깊게는 도당위원장의 ‘독단 운영’이라는 분석이 많다.

김 위원장 역시 억울한 점이 없지 않다.

평가위 구성의 문제만 놓고 봤을 때 당헌당규 절차에 의한 적법한 처리다.

지역위원장의 의견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되레 짜깁기, 소위 줄서기 등 투명·공정성을 저해하는 여러 문제들을 남길 수 있다.

김 위원장을 잘 아는 주변인들은 이번 평가위 구성 문제를 또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다.

‘남과 상의하지 않고 혼자 판단하고 결정한다’는 단순히 사전적 의미의 ‘독단 운영’이라기보다는 김 위원장의 평소 원리원칙주의에 기인한 원칙적 운영이 부른 참사(?)라는 것이다.

안호영, 김윤덕 등 역대 도당위원장들의 행보를 보면, 물론 다는 아니었어도 여러 면에서 암묵적 추인을 통해 지역위원장들과 소통하며 도당의 중요사안들을 결정해 왔다고 한다.

지역위원장의 함의와 중지를 모아 추진되었고, 이 때문에 이들과의 공감대 형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고 한다.

물론 최종 결정권한은 도당위원장에게 있다.

충분한 숙의와 함의, 공감대, 정치는 그래서 원리원칙과는 반대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전북 정치의 핵심은 국회의원들에게 있다.

1심에서 실형이 선고된 이상직 의원, 소명의 기회도 없이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으며 당을 떠난 김수홍 의원, 이번 신 의원의 당직 사퇴까지 더해지며 전북의 원팀이 훼손되고 있는 마당이다.

핵심 근간이 흔들거리고 있는 가운데 그 중심에 김 위원장이 다시금 리더십을 발휘할 때가 됐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