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농촌 수탈의 역사를 책으로 발간하고 지역의 역사 문화를 복원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김승수 전주시장과 유재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장은 지난 6일 전주지역 문화유산 학술조사연구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고고·건축문화유산 조사연구 및 행정협력을 비롯해, 전주지역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학술 및 행정지원 협력 등에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이날 전주역사박물관과 별도의 업무협약을 맺고 일제강점기 전북 농촌자료 학술연구에 나서기로 했다.

그동안 전주를 포함, 전북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일제의 경제 수탈이 심했던 곡창지역이었지만 체계적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미래 세대의 역사교육을 위한 자료와 장소가 빠르게 멸실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이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전주역사박물관이 소장 중인 일제강점기 일본인 농장 자료 40여 점을 바탕으로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 뒤 올 연말까지 일제강점기 농촌 수탈 자료인 도록을 발간키로 했다.

지난해 정읍시 화호리 구마모토 농장을 중심으로 연구에 착수한 데 이어 전주까지 사업 대상을 확대한다는 게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의 계획이다.

전주시는 일제강점기뿐만 아니라 후백제 왕도, 전주부성 역사복원 사업, 근대문화재 보존관리와 연구 사업 등도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와 함께 중장기 연구계획으로 수립하고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그동안 전주시는 도시 곳곳에 산재한 역사의 그늘과 그 속에 살아가는 시민들의 아픈 기억을 지우지 않고 보존해 도시의 경쟁력이자 자산으로 만들어 왔다.

대표적 사례가 전주한옥마을이다.

이곳은 지난 1930년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성안으로 진출해 상권을 확장하자 이에 반발한 전주사람들이 풍남동과 교동 일원에 한옥촌을 조성하면서 시작됐다고 한다.

이를 그대로 보존해온 전주시는 동학농민군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완산칠봉 일원을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 역사문화벨트를 조성하기에 이른다.

그런가 하면 일본에서 송환된 무명의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유골을 ‘전주동학농민혁명 녹두관’에 125년 만에 안장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명성황후 시해와 동학농민군 토벌에 앞장섰던 이두황의 묘와 묘비로 향하는 기린봉아파트 진입로에 단죄비를, 역시 친일행위 논란이 있는 김해강 시인의 시비가 위치했던 덕진공원에 단죄비를 세웠다.

올바른 역사를 바로 세우고, 또 지역의 문화를 찾기 위해 ‘보전과 복원’이라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 전주시에 박수를 보내며 이번 연구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소귀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