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금융기관 여신 2,117억
1금융권 가계대출 규제강화
가계-기업대출 2금융권 몰려
금리인상조짐 부실현상 우려

도내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2금융권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여파로 내수시장이 쉽사리 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1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점점 더 높아지면서 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는 중소기업과 서민들이 증가함에 따른 것이다.

이는 기준금리가 인상될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자칫 이자 부담을 키워 부실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예의주시, 무조건적인 규제가 아닌 기업과 서민들의 여건을 고려한 금융정책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2021년 6월 중 전북지역 금융기관 여수신동향’에 따르면 도내 금융기관의 여신은 2천117억원으로, 전달대비 증가로 전환됐다.

6월 말 여신 잔액은 63조1천584억원이다.

예금은행(1금융권) 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축소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2금융권) 대출이 눈에 띄게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기관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예금은행 여신(-3천72억원)은 기업대출(-88억원→-2천389억원)이 눈에 띄게 준 데다 가계대출(-756억원→-676억원)도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전달(-872억원)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여신(5천189억원)은 가계대출(-1천16억원→1천578억원)이 증가로 전환된 데다 중소기업의 대출이 전달보다 2배 이상 늘면서 기업대출(1천496억원→2천970억원)이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전달보다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2금융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이는 높아지는 연체율을 우려해 1금융권에서 기업대출의 문턱을 높이는 데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1금융권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낮추는 등 규제를 강화하면서 풍선효과가 더해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말했다.

 상대적으로 2금융권의 대출요건이 낮음에 따라 서민과 중소기업이 몰리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같은 2금융권 쏠림 현상은 경기 침체기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칫 부실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기업대출 잔액(6월 말 기준 31조7천217억원)의 94.4%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가운데 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34.9%로 나날이 커졌으며, 가계대출은 1금융권보다 2금융권의 비중이 56.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하자 벌써 대출금리가 들썩이는 만큼 이자 부담 가중은 가속화될 게 불 보듯 뻔하다는 점 또한 부실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 대출의 2금융권 쏠림 현상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상황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한 지속적인 금융정책은 물론, 가계대출을 관리하고자 규제만 할 게 아닌 가계 여건을 고려한 방안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도내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1금융권 가계대출을 규제하면서 대출 자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2금융권으로 쏠리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에서 중금리 대출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 역시 2금융권 대출을 키우는 요인”이라며 “아직은 부실현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기관 수신(1조8천104억원)은 전달(-1천284억원)대비 증가로 전환됐다.

예금은행(1조6천470억원)의 증가폭이 또다시 확대되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1천634억원)도 증가로 전환됨에 따른 것이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