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가계대출 28조1천55억
자금조달비용지수 상승추세
주담대 보다 신용대출비중커
이자부담에 연체율상승 우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서민경제에 적잖은 후폭풍을 몰고 올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은 불가피, 이는 가뜩이나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중소기업과 가계에 이자 부담의 짐까지 더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0일 도내 금융권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도내 가계대출 잔액은 28조1천5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조6천231억원 증가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1.9%p 하락한 40.1%로 집계된 반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1년 전 잔액보다 1조4천534억원이나 급증했다.

기업대출의 경우 31조7천217억원으로, 이 역시 중소기업대출이 크게 늘며 1년 전보다 2조9천983억원가량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가 위축되면서 가계대출은 물론 기업대출이 가파른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1년 3개월 만에 0.25%p 인상을 단행, 0.50%에서 0.75%로 올라서면서 지역 경제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변동형 주담대 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만을 보더라도 8월 기준 신규취금액 기준 코픽스가 0.95%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오르는 추세로,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상승세는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이미 금융권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해 수신상품 금리 인상에 들어간 만큼 수신상품 등 조달비용을 바탕으로 산출되는 코픽스 상승은 불가피, 변동금리 상승은 시간문제다.

더욱이 주담대에 비해 신용대출이 더욱 금리에 민감한 만큼 대출자들이 체감하는 이자 부담이 더 빨라질 수 있다.

문제는 가계대출에서 신용대출 비중이 큰 데다 저금리 기조에 변동금리를 선택한 대출자가 많은 만큼 이자 부담을 피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전북은행만 보더라도 가계대출 잔액 중 변동금리 비중이 64%다.

뿐만 아니라 자칫 소비를 더욱 위축을 불러와 내수시장을 더욱 얼어붙게 만드는 등 지역경제 악순환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소상공인·중소기업의 대출 비중이 94.4%에 달하는 기업대출 또한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기업대출의 경우 가계대출보다 변동금리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가중되는 무게도 더 클 것이라는 분위기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최근 33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87%가 대출 만기 연장 종료와 기준금리 인상이 겹치면 경영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이번 기준금리 인상 후폭풍을 피해갈 수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2금융권 쏠림 현상이 지속된 데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은 만큼 영세한 규모의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자금난 심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도내 금융권 관계자는 “아마도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10월 정도부터 본격 오를 수 있다. 하지만 한은이 추가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상승 시점은 더욱 앞당겨질 수 있다”며 “대출금리가 오르니 소상공인, 중소기업, 가계 부담은 커지지 않겠느냐. 이들뿐 아니라 연체율 상승이 우려되는 만큼 은행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성아기자 tjddk@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