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군산 앞바다에서 고려청자 등 유물 2백여점이 발견됐다.

바닷속에 그릇이 있다는 신고를 받고 문화재청 해양문화연구소가 수중 탐사를 통해 발견한 것으로, 전북 군산 선유도와 무녀도 인근 3개 지점에서 고려청자와 백자 등 과거 삶을 엿볼 수 있는 대량의 문화재가 발견된 것이다.

고려와 조선시대 선박 여러 척이 이 일대에서 난파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수중 유물은 상대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아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에는 수중고고학 관련 전문인력이 부족해 수중문화재가 매장된 위치를 확인하고도 발굴은 엄두조차 못 내는 상황이다.

실제 문화재의 매장위치가 확인된 해역 49곳에 대해서도 발굴은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수행가능 기관은 문화재청 산하 해양문화재연구소가 유일하고, 민간 조사기관에서 지표조사를 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인력과 여건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

국내 27개 대학의 고고학 전공 중 수중고고학 교과목이 개설된 곳은 2개 대학에 불과해 매년 5~7명이 이수하는 데 그치고 있고, 신규 조사원의 경우 수중발굴 업무를 수행하기까지 3~5년의 실무교육 기간이 필요한데, 국내에는 이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기관이 없기 때문이다.

수중고고학 전문인력의 부족은 국책사업의 지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중에 문화재가 존재할 경우 육상과 마찬가지로 조사나 발굴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사업 추진이 불가한데, 육상은 매장문화재 지표․발굴조사에 즉시 투입 가능한 조사기관과 조사인력이 160개소 2,700여명 수준인 데 반해, 수중지표조사 및 발굴조사가 가능한 인력은 30여명에 불과한 탓이다.

열악한 수중고고학 여건의 영향은 유물 발굴이나 사업지연에 그치지 않는다.

중국은 일대일로 해양굴기 전략 및 해양강국 정책을 추진하면서 1989년 「수중문화유물 보호 규정」 시행 후 400여명 이상의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했고, 유네스코와 연계하여 주기적으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아프리카 및 아랍권 등과도 공동 조사를 실시해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 강화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동해, 서해, 남해에서 일본, 중국 등과 활발한 해양교류와 해전 등이 이루어졌던 만큼, 이와 관련된 난파선과 유적들도 각 국가의 수중에 매장되어있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 주도의 수중고고학이 진행될 경우 동아시아 해상문화 관련 역사의 해석이 그들 중심의 논리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도 체계적인 전문인력 양성과 법률체계 마련 등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서 현재 ‘수중문화재의 조사 및 연구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으로 법안 통과 시 체계적인 인력양성 등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발맞춰 전북 서해안에 수중고고학 관련 기관의 유치가 필요하다.

서해, 특히 고군산군도 일원은 해상 교역로의 중간 기착지로서 많은 난파선과 유물의 매장해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바다에 인접한 11개 지자체 중에 해양문화시설이 없는 것은 전라북도가 유일해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는 점도 고려사항이다.

전북 고군산군도에 수중고고학 교육훈련센터가 들어서 서해에 잠겨있는 문화재들을 발굴하고 해양강국이었던 우리의 역사를 바로 세우길 기대해본다.

/신영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군산)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