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여권대통합을 선언한 이후 도내 정치권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이 후보의 언급대로 여권대통합이 이뤄지게 되면 그 동안 진보진영을 주름잡았던 정치 주류들이 대부분 다시 한 곳에 모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그 긴장의 중심은 호남, 그 중에서도 전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1997년 대선에서 진보 진영은 김대중 후보 쪽으로 합쳐졌다.

그리곤 역사상 최초의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당시 DJ 집권의 주요인 중 하나는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의 출마였다.

대선 개표 결과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1,032만여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993만여표,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492만여표였다.

DJ와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은 40.20% 대 38.74%였다.

불과 39만여표 차다.

진보진영을 통째로 끌어모은 데다 이인제 후보의 득표율이 있었기 때문에 DJ의 승리가 가능했다.

이후 민주당은 2002 대선에서 영남 후보를 내세웠다.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1,201만여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1,144만여표였다.

노무현 후보가 57만여표 차이로 승리했다.

득표율이 불과 2.3% 차이였다.

이 두 선거에서 1, 2 후보간 득표율 격차는 2% 내외였다.

18대 대선 역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1,577만여표(51.55%)로 당선됐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1,469만여표(48.02%)를 얻었다.

이 때 격차는 3.5% 차이였다.

이처럼 치열한 선거가 치러질 때의 당선자와 낙선자의 득표 격차는 박빙이다.

최근 정가에선 70여일 남은 내년 3.9 대선과 관련해 초박빙 승부를 예상하는 관측이 많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선대위에서도 초박빙 승부라는 전망이 상당하다.

불과 몇 십 만표 차이로 승부가 갈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여권대통합'을 강조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민주당과 비(非)민주당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세력의 결집을 대선 승리의 기본요건으로 보는 셈이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여권대통합 선언 이후 민주당은 지난 21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맞붙었던 구 국민의당, 바른미래당, 민생당은 물론 친여 성향 무소속 인사까지 끌어안기로 했다.

전북은 민주당과 이른바 비(非)민주당 인사들간 경쟁이 치열한 곳이다.

민주당이 대선을 위해서 하나로 뭉치기는 했지만 당장 내년 지방선거와 차기 국회의원 총선에서 이들은 경쟁자가 될 수밖에 없다.

민주당 기존 인사들 입장에선 이런 상황이 불만스러울 것이다.

대선 승리를 위해 일단 중앙당 방침을 따르지만 다음 선거에서 상대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복당하거나 입당하려는 이들의 경쟁력이 만만치 않다.

도내 주요 선거에서 복당, 입당 러쉬가 이뤄지면 민주당을 지켰던 측에선 큰 인센티브가 없다.

선거에 나서는 민주당 기존 인사들은 예상치 못했던 복병을 만나는 셈이다.

과거에는 민주당을 지킨 이들이 경선 및 공천 심사 과정에서 도움을 받았고, 민주당을 탈당했던 이들은 복당에 큰 난관이 있었다.

하지만 대선이라는 큰 흐름 속에 민주당 복당이 현실화하면서 지역내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따라서 관건은 이재명 후보가 이 상황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에 있다.

대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보려면 당내가 먼저 탄탄해져야 하고 팀웍이 형성돼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 복당이라는 이슈가 현실화한 만큼 이 후보의 역할에 정가 관심이 집중된다.

전북에서 민주당을 지켜온 이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그에 상응한 인센티브를 줄 것인지 당 지지층이 주목하고 있다.

/김일현 부국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