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국민들에게 지원되는 재난지원금.

이 지원금이 시군별로 제 각각인 데다 금액도 큰 편차를 보여 소위 ‘재난지원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도내에서 가장 많은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는 곳은 진안군.

진안군은 지난해 말 전 군민 2만4천여 명에게 10만원씩의 재난 기본소득지원금을 지급했다고 한다.

세 차례에 걸쳐 1인당 무려 40만원씩을 지원했다고 한다.

정읍시의 경우 설 명절 전 모든 시민에게 10만원씩의 3차 재난 기본소득지원금을 지급키로 했다.

지난 2020년 5월과 지난해 1월에 이어 세 번째라고 한다.

1인당 30만원이 지원되는 셈이다.

익산시 역시 모든 시민에게 10만 원을 지급키로 했다.

지난해 1인당 10만원을 지원한 데 이어 두 번째다.

이밖에도 장수·완군 15만원, 부안군·김제시 10만원 등 지자체별로 이미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모든 주민에게 두 차례 이상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지자체는 6곳으로 파악된다.

반면 전주시의 경우 저소득층, 버스·택시 기사 등에게만 선별 지원을 했다.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 지급 계획은 아직 없다고 한다.

해당 지자체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앞 다퉈 지역화폐, 선불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난지원금을 주는 이 같은 자치단체의 행정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오는 6월 열리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행정을 펼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어차피 시민들에게 걷은 세금, 시민들에게 돌려주자는 것인데, 나쁠 게 없다는 반응도 있다.

지원금이라는 게 꼭 필요한 시기에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고, 코로나19로 모든 이들이 힘겨워하는 이때가 바로 적기라는 목소리다.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자영업자들의 고통 앞에서 섣부르게 ‘선심성 지원’이라는 말을 꺼내기도 무서운 현실이다.

그저 소비지출을 통해 지역경제를 다시 불붙게 하겠다는 자치단체의 지원금이 본래의 목적대로 쓰이고,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일이 되길 바랄 뿐이다.

상대적으로 적은 지원금을 받는 시민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어느 정도 지자체별 형평성 있는 지원 등 어떤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도 든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