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일자리 증가추세가 전국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는 가운데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제조업보다 서비스산업을 비롯해 유망중소기업
등 고용창출력이 큰 부문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지역 일자리 증가추세가 전국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는 가운데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제조업보다 서비스산업을
비롯해 유망중소기업 등 고용창출력이 큰 부문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26일 도청에서 열린 전북 노사정 고위지도자 포럼에서 심갑보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이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영계 제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시했다.

심 부회장은 전북지역 내 총생산의 경우 2004년 5.3%에서 2005년 2.1%로
감소했고, 취업자 증감률도 성장률 둔화추세와 함께 열악한 산업구조 등으로 일자리 창출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다 보니 전북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일자리 창출 성과측면에서 15위를 기록,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것.

이에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성장과 고용의 연계 강화, 지역 노사정의
파트너 십 구축, 지역 고용·인적자원개발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게 심 부회장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업유치, 첨단산업·자본집약적 산업구조로 유도하면서
지역구조를 고용유발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조로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됐다.

또 제조업보다 취업유발계수가 1.7배 크고 제조업 고용 감소를 보완하는
주된 고용창출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산업을 비롯, 유망중소기업
등 고용창출능력이 큰 부문을 집중 육성해 고용친화적 성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밖에 지역의 교육 환경 및 교육 프로그램, 교육 재정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고용·인적자원개발 인프라 구축도 시급한 과제로 제시됐다. 기업과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따라
교육환경을 개선해 학교의 특성화 전략 수립을 통한 맞춤형 인적자원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갑보 부회장은 “우리나라는 노동력은
해마다 증가하는데 일자리의 양과 질은 저하되고 있다”며 “특히 전북지역은 그 정도가 심한 만큼 신성장동력의
기반 구축을 통해 기업 활동을 촉진시키고 첨단산업의 구조 및 강력한 지역경제 시스템으로 전환을 유도,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규호기자 hope@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