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전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던 시절 치러진 지방선거(2006년 5월 31일)에서 유일하게 정부 여당(열린우리당) 출신으로 도백에 당선된 김 지사. 정치궤적을 함께 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균형발전 정책 등 각종 정책적 코드가 일치했던 점을 감안하면 두 사람의 관계는 특별했던 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김 지사가 느끼는 비통의 감정은 남다를 것으로 보인다.

우선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006년 7월 전국 16개 광역단체장 가운데 처음으로 김 지사를 청와대로 초청, 비공식 만찬 회동을 가질 정도로 각별한 정을 과시했다.

노 전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고향으로 불리는 광주 전남의 두 광역단체장을 제치고 전북지사를 초대한 것은 단체장 가운데 유일하게 여당 출신이라는 점도 있지만 두 사람의 개혁코드가 상당부분 일치했다는 점도 작용했다는 게 후문이다.

실제 김 지사는 전주시장 시절부터 수도권의 강력한 규제와 함께 지역균형발전을 외쳤고, 이는 노 전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도 일맥 상통했다.

이날 청와대 만찬 자리에서 이뤄진 2시간 동안 포도주 4병을 비울 정도로 두 사람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을 정도다.

이 자리에서 노 전 대통령이 “상당히 좋은 사업 구상”이라고 표현한 ‘식품산업 클러스터조성 사업’이 바로 지금의 전북의 전략산업으로 발전됐다.

또 현재 전북도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혁신도시, 기업도시, 태권도공원 등 다양한 도정 현안의 밑그림이 노 전 대통령 시절 그려졌다.

김 지사는 “노 전 대통령은 국가 균형발전과 민주주의 정착, 인권 신장, 남북관계 개선에 커다란 족적을 남기신 분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서거에 큰 슬픔을 금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하고 싶은 말도 많고, 애도의 강도 또한 남다를 것으로 보이는 김 지사. 절제된 애도 표현이 묻어나는 대목이다.

김 지사는 25일 아침 일찍 전북도청에 마련된 분향소에서 헌화 분향한 뒤 도내 시장군수 등과 함께 봉하마을로 향했다.

/신정관기자 jkpen@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