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재보선을 통해 도내에는 무소속 정치권이 세력의 한 축을 형성했다.

특히 전주 지역에서 무소속이 위력을 발휘하면서 전주권에선 민주당과 무소속이 대립하고 있다.

10.28 재보선이 끝나면서 범야권의 관심은 다시 무소속 정치권의 복당 문제로 집결된다.

무소속 정치권에 민주당 대선 후보를 지낸 정동영 의원이 있기 때문이다.

DY는 2일 일부 기자들과 만나 “기자들은 복당 문제를 물어 보지만, 일반인들은 묻지 않는다”며 농반진반으로 말했다.

현재의 당적은 무소속이지만 많은 국민은 DY를 여전히 민주당 소속으로 본다는 뜻이다.

복당의 시점이 중요할 뿐 민주당과 대척점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실제로 정 의원은 “내 몸 속에는 민주당 피가 흐르고 있다”며 동질성을 대내외에 ‘강조’해 왔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민주당 정세균 지도부는 10.28 재보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따라서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된 SK 지도부의 의중이 복당 해법의 키가 됐다.

물론 정세균 지도부는 당내 통합과 혁신위원회라는 공식 기구에서 복당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갖고 있다.

10.28 재보선 이후, 민주당 안팎에선 복당과 관련해 두 가지 시나리오가 회자되고 있다.

연내 복당과 내년 지방선거 직전 복당이라는 두 가지 시나리오다.

연내 복당설은 민주당이 선거에서 승리한 만큼 범야권 통합을 연내에 마무리 짓는다는 것이다.

친노 세력은 물론 DY 등 모든 세력이 한꺼번에 들어와야 하며 그 시점은 국회 예산 처리가 마무리되는 시점, 즉 연말이라는 것이다.

반면 내년 지방선거 직전 복당은 민주당이나 무소속 모두 정치적 비중이 있는 만큼 어느 정도 분위기 조성이 된 이후에 복당 문제가 심도있게 논의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한편 민주당이나 무소속 양측은 ‘명분과 실리’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안을 고심할 수밖에 없다.

만일 상호 탐색전이 길어지게 되면 그 결과 복당 해법 역시 늦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정치권 일각에선 정세균 지도부가 전격적으로 복당을 수용할 것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정세균 대표의 정치적 입지나 당 장악력이 확고해진 이상, 전격적으로 복당 수용 입장을 표명할 경우 제2의 도약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