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9일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2.25%로 동결했다.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경기둔화와 대외 불확실성이 이유였다.

통화당국이 금융위기 때 푼 과잉 유동성을 거둬 들이는 '출구전략' 보다 당분간 주요국들의 경제상황을 지켜보자는 쪽에 무게중심을 둔 것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하반기 물가상승 압력과 초저금리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 기준금리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내 경기가 뚜렷한 '상고하저' 흐름을 보이고 있어 남은 3개월 이내 추가 인상을 단행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은은 이날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세 둔화 가능성, 유럽국가 재정문제 등이 성장의 하방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외부의 동반 악재가 자칫 국내 경기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서도 "주요국 경기의 변동성 확대가 세계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음을 냈다.

금통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5%대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2월 2.0%까지 낮췄다.

이후 16개월 동안 묶어두다 지난 7월에야 2.25%로 인상했다.

당초 시장에서는 이번달 금리 결정과 관련해 '징검다리 인상'을 점치는 쪽이 더 많았다.

근거는 국내 경기의 우수한 성장세였다.

올해 들어 수출호조, 소비증가, 제조업 성장, 고용사정 민간부문 중심으로 개선추세 등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김중수 총재가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를 수차례 언급하면서 시장에서 이를 '금리인상 시그널'로 받아들인 점도 고려됐다.

하지만 이런 예상은 빗나갔다.

이제는 올해 남은 세 번의 금통위 회의 중 과연 언제 인상카드를 꺼내들 것인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연내 인상이 어렵거나 한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대외 불확실성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 어렵고 우리 경제 역시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 추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급격한 인상은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어 인상 폭도 0.25% 수준일 것으로 점쳐진다.

김 총재는 이날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적정금리를 4.25%로 제시한 것과 관련, "세계 국가들이 위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고 우리 경기회복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든다면 그것(4%대)이 맞다"며 "다만 빠른 시간 내 그 수준에 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