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수입으로 직원들의 월급도 충당 못하는 자치단체가 적지 않다. 지난 7월12일 전국 최고 부자도시 중 하나로 꼽히던 성남시가 모라토리엄(채무지급유예)을 선언했다. 판교특별회계에서 빌려 쓴 돈 5천200억원을 예정대로 갚을 수 없다는 이유다.

지방정부 사상 최초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최근에는 대전 동구청이 일부 직원들의 12월 급여 미지급사태가 우려됐지만 대전시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했다. 도내 상황도 만만치 않다. 자치단체장이 선거로 선출되면서 각종 축제나 행사는 물론 선심성 사업이 부쩍 늘었다.

그러나 수익성은 등한시 되고 있는 게 대부분이다. 문화적 측면과 지역정체성, 자긍심 제고차원에서 축제나 사업은 필요하지만 지방재정을 축내는 소모성 행사에 그치면 곤란하다.

전주비빔밥 축제와 전주약령시 축제 등이 정체성 확립과 경제적 효과 미흡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전주시 의회에서 축제의 지역경제 활성화 문제가 지적됐다. 당연한 지적이다. 이젠 축제도 산업화다.

전주시는 지난 10월 ‘한바탕 전주 세계를 비빈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전주비빔밥축제를 개최했고 전주약령시 한방엑스포를 동시에 열었다. 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끈 성공적 축제였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발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도 방문객 70% 이상이 도내 거주자이고 50%는 전주시 거주 방문객이라니 세계인의 축제라는 슬로건과는 멀어 보인다.

방문객 관광일수도 하루가 86%, 2시간 이내가 37%로 스쳐가는 행사에 그치고 1인당 소비지출도 3만원 정도로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투자된 돈에 비해 미미했다.

계획은 거창한데 속 빈 강정 같다. 축제의 질 향상은 물론 돈 되는 축제로 탈바꿈 시켜야 한다. 이제 자치단체도 돈을 벌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