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의 ‘낙하산 감사’ 관행에 대한 비판이 거센 가운데 전북은행이 금감원 출신 감사를 잇달아 선임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해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 감사직을 금감원 출신이 맡지 못하도록 제동을 걸겠다고 공언했음에도 불구 여전히 전직 금감원 출신을 채용하면서 낙하산 관행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낙하산과 전관예우 개혁 움직임이 ‘용두사미’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전북은행 감사추천위원회(이하 감추위)는 이날 서울분실 행장실에서 차기 감사로 김광연(57) 전 금감원 은행총괄 서비스국장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북은행 노조는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날 노조는 당초 감사추천위원회가 열리기로 했던 이사회실에서 오전 9시부터 점검 농성을 벌이며, 밀실 추천을 막았으나 기습적으로 장소를 옮긴 위원회의 ‘날치기 처리’를 막아낼 수는 없었다.

앞서 전북은행 노조는 직원들을 보호하고, 전북은행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가진 지역 출신 인사를 감사로 선임해줄 것을 요구한 바 있다.

또한 자리보전용 인사나 금감원 낙하산 인사 선임을 절대 반대하며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결국 감추위는 전남출신이자 금감원 국장을 지낸 김광연 현 두산캐피탈 감사를 내정자로 결정했다.

김 내정자는 은행감독원 시절부터 25년간 금감원에서 잔뼈가 굵은, 그것도 은행감독 업무에는 정평이 나있는 ‘실력가’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현 감사에 이어 신임 감사까지 모두 금감원 출신이라는 점. 전북은행 측은 위원회를 통해 후보가 추천된 만큼 능력있는 인사의 정당한 선임이며, 금감원 인사의 감사 선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공직자윤리법에도 적용되지는 않는 전직 출신인사로 법적인 하자 또한 없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감독기관의 외풍으로부터 전북은행을 막아내는 데는 이만한 적격자가 없다는 게 은행 안팎의 전언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낙하산과 전관예우 개혁 움직임이 ‘용두사미’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감원 퇴직간부의 경우 금융회사 감사로 내려가는 ‘낙하산 관행’은 지난해 저축은행 사태 이후 여론의 호된 몰매를 맞은 바 있다.

현재 은행, 보험 등 주요 금융회사 34곳의 사외이사 145명 가운데 금감원 출신 감사는 45명으로 여전히 금감원 출신 간부들이 독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두형진 전북은행 노조위원장은 “최선을 다해 밀실 추천을 막으려고 했으나 상황이 여의치 못했다”며 “그러나 또 다른 요구인 자행출신 인사의 등기이사 선임 문제는 반드시 관철할 것이다.

이 요구마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강력한 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연기자 eodu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