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원 김성주

야당이 소란스럽다.

재보선 패배 이후 내부에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봉숭아학당'을 떠올릴만큼 부끄러운 일이 벌어졌다.

급기야 그동안 잇따른 지도부 교체로 야당의 지도력 약화를 초래해 왔던 전철을 되풀이하듯이 당 지도부 사퇴까지 들먹이고 있다.

보수세력은 ‘친노’와 ‘비노’ 갈등을 노골적으로 부추기며 야당 내분을 즐기고 있다.

이것은 예상했던 상황이다.

재보선에서 승리했으면 없었을 일이 패배로 인해 잠복해 있다가 한꺼번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승리의 경험이 적은 야당에게는 승리의 유전자가 약하다.

소수가 다수에게 이기는 방법을 찾는 것은 참 어렵다.

그러나 진보가 보수 기득권세력에 맞서 새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정권교체에 성공하려면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교훈을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김대중과 노무현 두 번의 집권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떠올려봐야 한다.

노무현대통령은 자서전 <운명이다>에서 두 번의 승리는 '결코 당연한 승리'가 아니고 '의외의 승리'고 '기적'이었다고 솔직히 고백했다.

다시 말하면 그 승리는 호남 충청 지역연합과 상대의 분열에 의한 것이었다.

결코 자신의 실력에 의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따라서 진보가 승리하기 위해서는 진보의 단결과 보수의 분열이라는 조건이 필수적이라는 뜻이다.

'보수는 부패로 망하고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속설이 있듯이 분열은 진보가 극복해야 할 숙명적 과제다.

변화의 방향, 내용, 속도를 둘러싸고 생길 수 밖에 없는 진보세력 내부의 생각 차이를 묶어세울 수 있는 확고한 지도력이 튼튼히 서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거꾸로 진보의 분열과 보수의 단결을 목격하고 있다.

분명히 말해 새정치연합 내에 ‘친노’와 ‘비노’는 없다.

도저히 넘을 수 없는 강물도 놓여있지 않다.

단지 분열의 장단에 맞춰 춤추는 세력들이 있을 뿐이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분열공작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단결을 이뤄내는 것이 승리의 첫째 조건이다.

호남이 흔들리고 있다.

호남정치의 위기를 맞아 한편에서 호남정치 복원을 주장하는 세력이 있다.

호남출신은 새정치연합 내에서 다수고 주류다.

호남의원은 31명에 불과하지만 130명 의원 중 수도권 상당수 의원들은 호남출신이다.

수도권 지방의원 상당수도 호남출신이며 당원 대부분도 호남출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뿌리는 지역적으로 호남이 맞다.

그런데 호남만 똘똘 뭉쳐 집권할 수 있는가? 호남향우회 대동단결로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그러면 과연 호남정치복원이 김대중 정신을 들먹이고 동교동계가 전면에 나섬으로써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인가? 갑자기 걸출한 지도자가 혜성처럼 나타가 해결될 일도 아니다.

문제는 대통령감이 없어서가 아니라 호남출신 대통령이 나오기 어려운 인구구성에 있는 것이다.

호남은 임진왜란 때는 '약무호남 시무국가' 구국의 거점이었고, 독재시데에는 저항의 근거지요, 민주화의 성지였고, 지금은 민주화 이후 새로운 혁신의 거점이 되어야 한다.

오히려 우리는 호남의 여당인 새정치연합이 영남의 새누리당과 무엇이 다른가 질문을 자주 받는다.

호남에는 서울의 박원순, 제주의 원희룡 같은 혁신지도자가 없다.

결국 '호남정치'운운은 수적으로 집권 가능성도 낮아 보이고 내부에서 새로운 혁신 지도자도 보이지 않는 것에 따른 절망감의 표현이다.

잘못된 호남정치복원은 진보의 분열에 이어 지역의 분열까지 초래할 것이다.

호남이 이기는 길은 내부 혁신에 있고, 진보가 이기는 길은 모든 세력의 단결에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