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희태 민들레포럼 대표

도시인의 도내 농촌행이 크게 늘면서 지난해 전북지역 귀농·귀촌가구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귀농·귀촌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귀농·귀촌가구는 4285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의 2993가구에 비해 43%나 증가한 규모다.

도내 귀농·귀촌 가구는 지난 2002년 90가구에 불과했지만 2011년 1247가구, 2012년 2228가구 등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주로 농촌에서의 인생 2막을 꿈꾸는 도시의 정년 퇴직자 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지금은 농업에 대한 도전 및 직업전환을 꿈꾸는 젊은 도시민들도 많다.

귀농·귀촌 전 거주 지역은 서울 26.6%, 경기 17.2%, 인천 4.3% 등 수도권이 48.1%를 차지했다.

40대 이하 젊은 층 귀농귀촌 증가율이 43.0%로 평균증가율 37.5%보다 높게 나타났다.

귀농귀촌이 크게 늘면서 농촌지역에도 활기가 돌고 있다.

현재 도내 농촌지역에는 노인들 중심이다.

도내 65세 이상 농가 비율이 지난 1990년 11.3%에서 2000년 33.0%, 2013년 37.7% 등으로 급증하면서 내부 인력만으로는 농촌 활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에서 이들 귀농인력은 단비나 다름없다.

하지만 귀농·귀촌은 그리 쉽지는 않다.

귀농·귀촌의 이유는 다양하다.

경제적 이유, 삶의 가치, 가족건강 그러나 준비되지 않는 귀농은 상처만 줄 뿐이다.

귀농·귀촌에 성공하려면 자기 자신의 검증과 컨설팅이 필요하다.

반드시 준비운동과 함께 귀농·귀촌에 대한 확실한 교육. 정보수집, 농촌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훈련이 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많은 것들이 있지만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차근차근 준비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귀농·귀촌은 이제 도내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비교적 젊은 연령층이 귀농귀촌에 가세하면서 동기도 다양하다.

50대 연령비중이 높지만 40대 이하 비중과 증가세가 꾸준히 높은 편이다.

귀농·귀촌의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 되고, 기대수명 증가로 장년, 노년층의 탈 도시화 흐름이 지속되며, 은퇴 이후 주거생활비가 적게 드는 농촌으로 이주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원생활, 생태적 가치 선호증가와 함께 교통 및 정보통신망 발달오 농촌을 정주공간의 대안으로 재 인식되고 있다.

 귀농·귀촌인이 농촌의 농촌공동체의 활력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다양한 경력을 살려 귀농·귀촌인이 농촌공동체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지역리더 역할을 담당하고, 농업의 6차 산업인 가공·유통·체험산업을 창업하거나 창의적 노동력을 제공하여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농촌지역의 인구 유입으로 인구 감소세를 완화하고 사회 경제적 역동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면 귀농·귀촌 무엇이 문제인가. 귀농·귀촌은 도시민이 농촌으로의 이민이라 할 수 있다.

문화와 생활여건이 상이한 곳으로의 이민이다.

철저한 자기 컨설팅이 필요하다.

경제적 여건과 가족의 동의, 건강 등의 컨설팅과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와 정보수집 등 농촌에서 생활 할 수 있는 능력을 쌓아야 한다.

도시문화와의 차이에서 오는 농촌주민들과의 갈등이 문제가 된다.

특히 귀농인들 상당수가 마을 주민들과의 불화, 또는 소득기반을 찾지 못해 농촌 정착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내실 있는 지원정책과 귀농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귀농 전략도 고려해볼만 하다.

결국 도시와 농촌의 조화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일자리 창출은 물론 농촌 공동화도 해결 될 것이다.

귀농인구가 늘어나면 생활환경도 좋아지고 폐교도 부활 되며 문화시설 등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답을 찾을 수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에서 귀농귀촌을 위해 좋은 정책을 펼치고 있는 이 시점이 귀농귀촌의 적기가 아닌가 생각 한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