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부 도로의 제한 속도를 낮추는 ‘안전속도 5030’ 시행 첫날, 본보 취재진이 엇갈린 시민들의 반응을 취재했다.

속도를 제한하면 답답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다 같이 흐름을 맞추니 예상보다 괜찮았다는 긍정적 답변과 함께 카메라 앞에서만 속도를 지키는 게 의미가 있느냐는 부정적 답변도 있었다고 한다.

제도 시행 첫날인 17일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를 제외한 일반도로의 차량 제한속도는 50㎞, 주택가와 학교 주변 이면도로는 30㎞ 이하로 제한됐다.

속도를 제한하면 답답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다 같이 흐름을 맞추니 예상보다 괜찮았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적지 않았다.

대중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학생들이나 아이를 둔 학부모 측에서 특히 마음이 놓인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다양한 의견들이 올라왔다.

안전운행으로 사고가 줄어들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느려진 속도로 교통신호를 몇 번 더 받아야 한다는 불만도 있었다고 한다.

택시 기사들의 경우 속도 제한으로 인해 영업에 타격을 받았다며 불평을 쏟아냈다.

또 속도로 인해 ‘과태료 폭탄’을 맞아야 했던 시민들은 거둬들인 세금을 제대로 사용하길 바란다는 대답을 내놓기도 했다.

특히 출퇴근 시간, 1분 1초가 급한 운전자들은 제도의 필요성이 쉽사리 와 닿지 않았다.

대부분은 느려진 주행속도로 신호체계에 더 자주 걸려 주행속도는 한층 더 느려질 것이라고 봤다.

한 누리꾼은 “도심 신호 체계가 50km에 최적화돼 있지 않아 기존엔 1번 걸릴 신호등이 (50km로 달릴 경우) 3번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토로했다.

이 누리꾼은 “주로 다니는 도로에 신호가 짧아, 차가 몇 대 지나가지도 않고 보행자 신호가 켜지곤 했는데 주행 속도마저 느려지면 멈춤은 더 잦아질 것”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풀어야할 숙제도 제시됐다.

“카메라 앞에서만 5030인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 “교통사고의 원인에는 과속만 있는 것이 아니다” 등의 반응이 그것이다.

여러 반응들 중 꼭 풀어 넘어가야할 것도 있다.

음주운전, 무단횡단, 불법유턴, 신호위반 등 여러 요소가 많은 데 속도만으로 한정된 5030, 또 도로정체로 인한 이산화탄소 등 매연다량 배출로 인한 환경공해 문제 등은 이후 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풀어야할 숙제가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