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자치연대-도의회
교육위원회 공동 세미나 가져

전북지역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과제와 방향, 이를 통한 전북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와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는 6일 전북도의회 1층 세미나실에서 ‘고교학점제 안착, 전북은 어떻게?’를 주제로 한 공동 주최 세미나를 개최됐다.

이날 세미나에는 도의회 교육위원과 도교육청 관계자, 교사 등이 참석, 전북교육의 현실과 고교학점제 안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발제자로 나선 임종헌 소장(한국교육개발원 고교학점제 연구센터)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정부의 방향에 대해 설명한 뒤 “세부 내용의 변화는 있겠지만 결국 고교학점제로 갈 수 밖에 없다”면서 “이에 대한 체계적·전략적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의 경우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면서 ”지역교육과정의 적극 개발과 해당 콘텐츠의 질적 제고 등이 이뤄지면 대도시의 학생들이 오히려 전북에서 지역교육과정을 듣기 위해 유입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토론자로 나선 김영아 전북교육청 장학사는 “고교학점제가 지향하는 큰 방향은 미래교육, 책임교육, 교육자치에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학교와 교육청은 물론이고 지역사회의 관심과 책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교와 교육청은 공교육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시민사회는 ‘대학입시를 따라가는 교육’에서 ‘지역의 미래 인재를 기르는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 담론을 구체적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형태 교사(전북교육정책연구소)는 “연구학교와 선도학교의 사례가 전국 일반 고교에서 보편성으로 연결될지는 의문이다”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전북지역 특히 소규모 학교에서의 지역연계교육이 지역 한계교육으로 변질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이등 전주고 교사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풍부한 인적 자원의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정수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은 “고교학점제는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다. 장밋빛 미래만을 그려서는 안 된다”면서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대학입시에 대한 변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고교학점제를 지역교육이 다시 살아날 수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라도 균형적인 투자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날 세미나 좌장을 맡은 이경한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 대표(전주교대 교수)는 “고교학점제 시행의 다양한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이를 우려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면서 “특히 전북과 같이 소규모 학교가 많은 지역에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조언했다.

특히 “고교학점제를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교육 인프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우선돼야 하고 과목에 대한 선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교학점제란 학생들이 교과를 선택하고 강의실을 다니며 수업을 듣고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이수하는 제도를 말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는 마이스터고에, 2022∼2024년에는 특성화고에 전면 도입되며, 오는 2025년에는 전체 고교에 적용될 예정이다.

/정병창기자 woojuchang@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