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봉수 시인·문학평론가·전북과미래연구소장
/한봉수 시인·문학평론가·전북과미래연구소장

지난 2022년 12월 28일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으로 후백제가 ‘고대사 문화권’에 포함되는 큰 경사를 맞게 됐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앞으로 후백제 왕도 복원 프로젝트에 가속도를 낼 것으로 보여진다.

후백제의 왕도인 완산주(현 전주와 완주)는 천백년 고도(옛 왕성)이다.

이제 천백년 역사를 잇는 웅대한 의미의 지도를 그려낼 수 있다.

나아가 호남의 정신사적, 문화사적 일맥의 그림을 그려나갈 수 있다.

견훤왕의 여민정개(與民正開) 정신은 조선 태조의 민본혁명과 맥을 같이 한다.

그래서 태조와 태종은 민족정기와 왕기 서린 완산주를 조선의 본향으로 삼은 것이다.

본고에서 후백제에서 조선에 이르는 맥을 살피고자 한다.

견훤대왕은 892년에 무진주(광주)에서 ‘백제’라는 국호로 후백제를 세우고 900년에 ‘완산주’에 도읍을 정한다.

완산주는 북으로는 백제 무왕의 왕도였던 익산 금마저 바로 아래에 있으며 남으로는 신성한 모악산이 있어 이 땅을 도읍터로 정했다.

견훤은 왕도(王都)이름을 ‘완산(完山)’이라 했다.

그리고 연호를 ‘정개(正開)’라고 선포한다.

견원은 농민의 자식으로 태어나 새로운 시대를 백성과 더불어 열고자 ‘여민정개’ 정신을 실천한 혁명가이다.

서기 900년에 완산(전주성)에 백성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입성한다.

전주는 900년부터 37년 동안 완산이란 이름으로 후백제의 왕도(王都)였기 때문에 천년고도라 불릴 수 있는 것이다 후백제는 비록 반세기 2대 왕조에서 멈췄지만 한국사에서 그 지위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한국역사 변화와 정신사의 발전을 실천하고 주도했다는 면에서 새로운 해석을 해야 한다.

후백제는 백제의 후왕국이다.

한류의 뿌리가 된 백제 완산(전주)권 고유문화와 정신사를 승계했다.

견훤은 마한과 백제 계승을 내세워 국호를 ‘백제(百濟)’라 하고 세상을 바르게 열어보자는 뜻으로 연호를 ‘정개(正開)’라 했다.

고려 왕건이 왕성을 불살랐을지언정 왕도의 역사와 혼을 간직하고 있다.

전주는 후에 고려를 멸한 조선 건국의 본향의 토대를 다지게 된다.

완산주에는 활화산 같은 문명의 기운이 하늘을 감싸고 있다.

이를 간파한 자가 견훤대왕과 이곳을 조선의 본향 풍패라 정하고 1392년에 조선을 창업한 태조대왕이다.

오목대에서 종친들과 대풍가를 부를 때 이성계는 이 땅을 왕도 백제성으로 인식했으며 이에 분개한 정몽주도 전주를 백제성으로 인식하고 시 ‘등만경대’를 지었다.

완산은 백제 위덕왕이 555년 지정한 뒤로 1400년간 완주와 전주가 하나로서 이어져 오다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당시 전주군(완산)이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분리돼 온 것이다.

만경강의 원래 이름이 중국 한나라 유방의 고향 풍패에 흐르던 강 ‘사수’ 이었던 것을 아는가? 일제가 만경강으로 개명했다 한다.

견훤대왕의 다이네믹한 꿈을 재현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

견훤은 백제 무왕이 금마저에 천도한 백제의 역사를 잇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전주시와 전북도는 후백제 제전위원회를 구성하고 범도민적인 축제를 열 필요가 있다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이 보물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범도민적 ‘정개 축제’를 제안한다.

견훤왕 전주천도행렬을 실제 견훤왕의 행로인 서안지역을 따라 ‘입성재현축제’를 개최하길 제안한다.

전남이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를 건립하는 것처럼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특히 센터를 중심으로 역사, 예술, 인문학적 프로그램도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

후백제의 견훤이 한국사에 다이네믹한 시대를 열었던 것처럼 그 혁명 정신이 재정립 돼지길 바란다.

그 정신이 완산주에서 조선 창업으로 맥을 이었다.

이러한 거대한 스토리로 새로운 정신과 문화, 관광의 시대를 열 수 있기를 소망한다.

/한봉수 시인·문학평론가·전북과미래연구소장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