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지역 학생 수 대비 전북의 교권침해 비율이 4배에서 많게는 8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교권침해와 관련한 지역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강 의원이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교교권보호위원회 심의 건수는 2020년 1천197건에서 2022년 3천35건으로 약 2.5배 급증했다.

또 2022년 학부모에 의한 교권침해 건수를 시도별로 살펴본 결과 경기 41건, 서울 24건, 전북 21건, 충남 14건, 충북 13건 순으로 많았다.

2022년 교육통계서비스 기준으로 지난해 서울 학생 수는 약 88만 명, 경기 학생 수는 약 165만 명인 반면 전북은 약 20.8만 명에 불과하다.

이를 고려하면 도내 학부모의 교권침해 빈도는 학생 수 대비 매우 높은 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북이 학생수 대비 교권침해 비율이 높다는 데이터는 또 있다.

도교육청이 지난 5월 배포한 ‘교육활동보호 혁신 TF팀 활동 보고서’ 또한 학부모의 교육활동 침해 수가 2018년 8건, 2019년 10건, 2020년 2건, 2021년 7건, 2022년 21건으로 집계됐다.

당시 보고서는 “학부모 교권 침해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고 판단한 바 있다.

반면 교권보호위원회 결과 교육활동 침해 학생에 대한 전북 지역의 조치 횟수는 수도권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고 한다.

각각의 데이터는 그러나 왜 도내 학부모들의 교육활동 침해 비율이 높은지는 짚고 있지 않았다.

왜 유독 전북이 이렇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일까? 단순히 학업에 대한 학부모들의 지나친 관심으로만 치부해야할까.

이에 대한 조사도 함께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강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권침해로 인한 전국단위 피해교원 복무 현황에 따르면 교권침해 건수가 증가하는 만큼 피해 교원의 연가, 특별휴가, 병가, 휴직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특히 병가 조치는 2020년 101명에서 2022년 289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급증했다.

덧붙여 최근 3년간 교권침해 교원 2천227명이 연가·특별휴가·병가·휴직을 겪었다.

교권 추락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이번 데이터는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일, 정상적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일에 교육당국이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