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SOC 예산 회복과 현안 사업 추진을 위해 강경일변도의 태도를 접고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본보는 3면 정치면에 흥미로운 2개의 기사를 톱과 중톱으로 올렸다.

하나는 “전북 대여 공략 ‘강공-온건’ 필요”, 또 다른 기사는 “전북도 협상모드, 긍정적 시그널 보인다”는 기사다.

각각의 내용의 다르지만 핵심은 강경 일변도의 투쟁에서 벗어나 전략적 협상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

잼버리 파행 이후 새만금 관련 국가예산이 대폭 삭감되면서 도민 민심이 거세게 분노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여 강경투쟁이 정답이다.

하지만 국가예산 심의나 배정 과정 그리고 국가의 주요 사업 추진이 여권 핵심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것도 배제할 수 없다.

강경투쟁 만으로는 전북이 원하는 성과를 얻어내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는 게 핵심.

이와 관련 본보 취재진은 7일 예정된 대규모 상경투쟁을 기점으로 도와 정치권의 역할을 분리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치권은 국회 예결위에서 더욱 강력하게 대여 투쟁에 들어가고, 도는 설득과 호소를 통해 전북 몫 배정 필요성을 확실히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와 정치권 모두가 강경투쟁에 나설 경우, 효과는 반감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의해 예산 복원, 현안추진에 크게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견해인 것이다.

이런 중앙의 기류를 감안해서인지 또 다른 기사에서는 7일로 예정됐던 김관영 지사와 국주영은 도의장의 삭발식이 열리지 않는 것과 관련, 여러 해석을 내놓았다.

본보 취재진은 기존의 강경모드에서 협상모드로 전환된 데 따른 것으로 관측하고, 향후 정부·여당과 새만금 예산 삭감문제를 어떻게 다뤄나갈지 주목된다고 적었다.

그도그럴 것이 최근 열린 국정감사와 국회 예결위, 그리고 최근 지방시대 종합계획 등에서 긍정적 시그널이 감지돼 협상의 여지가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국가식품클러스 확대, 새만금 인프라 조성, 금융중심지 지정 등 지역 현안 사업들이 윤석열 정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에 대거 포함되면서 협상 여지에 힘이 더욱 실리는 모양새다.

여당 내에서도 새만금 예산 복원 대한 공감 분위기가 여러 채널에서 감지되고 있고, 민주당 역시 예산 복원 없이는 예산 심의가 절대 이뤄질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어서, 여야 모두 새만금 예산 복원 목소리가 강하게 어필되고 있는 상황.

이럴 때 일수록 강경모드에서 협상모드로 전략적 자세 변화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정계 안팎의 중론이다.

전북도와 정치권의 그 어느 빼보다 솔로몬의 지혜를 짜내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