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핵심주체인 2030 젊은 층들의 전북 탈출이 해를 거듭할수록 심화하고 있단 소식이다.

올해 3분기 전북지역은 고용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가 바닥을 향하고 있는 가운데 인구 유출 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최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북지역 순유출 인구수는 1,065명으로 집계됐다.

1분기와 2분기 순유출 인구 1,764명과 881명을 더하면 3,710명에 달한다.

순유출은 전입한 사람보다 나간 사람이 더 많은 경우인 만큼 실제 지역을 떠나 수도권 등으로 간 숫자는 이보다 휠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향을 떠난 인구가 농촌보다는 전주 등 시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인구가 늘어난 완주군(1,585명)과 무주군(33명), 장수군(5명)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순유출 인구(1,190명)보다 전주시(1,498명)에서 빠져나간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역을 떠난 인구 대부분이 20~30대로 직장과 교육을 위해 서울 등 수도권으로 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역설적으로 농촌인 전북지역에서는 고향을 떠날 젊은 층 자체가 점차 주는 데다 중장년층의 귀촌·귀농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실제로 3분기 연령대에 따른 순유입 및 순유출 인구 현황을 보면 60대, 50대, 40대는 각 270명, 175명, 137명이 순 유입됐으나, 20대는 무려 1,385명이 순유출됐으며, 10대는 106명, 30대는 112명이 전북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MZ세대’가 서울 등 수도권으로 몰리는 이유는 뭘까? 서울이 지방보다 일자리·교육·즐길 거리 등이 더 많고 기회도 충분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실제로 경제·교육·문화시설 등 '삶의 질'과 관련된 각종 통계 지표에서도 서울이 압도적인 1위다.

1인당 개인소득은 서울이 2406만원으로 전국 평균인 2120만원보다 무려 13% 높다.

현대차 등 대기업이 몰려 있는 울산시보다도 많다.

17개 광역시 중 가장 적은 경남(1955만원)보다는 23%나 높다.

민간소비지출액(1인당)을 보면 서울만 유일하게 2000만원을 넘겼다.

부동산 광풍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가구당 자산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은 가구당 자산 평균이 6억3045만원이지만 비수도권은 3억8069만원에 불과하다.

소멸위기를 막기 위해서라도 국토의 균형적 발전과 지역 인프라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