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가계부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연체율 등의 지표 역시 부실화 위험이 높아 자칫 지역경제 뇌관으로 작용할지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전북지역 가계부채 현황 및 잠재리스크 점검’ 조사연구보고서(작성자 홍준서 조사역)에 따르면 전북지역 가계부채 규모는 9월 말 현재 26.7조원으로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금리 지속에 따른 금융여건 완화와 부동산시장 과열 등으로 2021년까지 추세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최근 들어서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1년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통화정책 긴축 기조로 인해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상환 여건이 취약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지역 연체율은 1.14%로 고금리 지속 등의 영향으로 올해 들어 상당 폭 상승했으며, 전국 0.35%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파른 상승세로 인해 전국과의 차이가 확대되고 있다.

문제는 전북지역의 경우 신용대출 등 상대적으로 만기가 짧고 금리가 높은 기타 대출 비중이 높아 이를 중심으로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또한 도내 경기 부진에 따른 가계 소득 감소로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악화 될 우려가 높다는 것.

4분기 실물경기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7.3%)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업 경기도 부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연체율 비중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북지역 가계부채 특징을 살펴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60대 이상 고령층 비중이 높은 편으로, 동 비중은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비은행 부문 비중(59.8%)이 전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북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신용대출 비중이 비교적 높고 주택담보대출의 비중은 낮은 편이다.

이는 여타 지역에 비해 주택 관련 대출 수요가 적은 영향으로 생활자금 목적의 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과 연관된다는 것.

이번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은행의 공식 견해가 아니라 작성자 개인의 견해라는 점이 그나마 다행스럽다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가계부채 상승, 연체율 등 지표 부실화 위험 등 잠재된 위험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대책들이 필요해 보이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