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농촌 현장 속 과학기술

마늘수확기 등 자율주행 농업로봇
고위험 병해충 대응 앱 보급
벼 디지털 작황관제시스템 구축
바로미2 품종 수발아 현장 개선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 9곳 조성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실습장
차세대 e-HRD종합시스템 구축
지역별 집중육성작목 연구 주관

기후변화 대응과 저탄소 실현을 위한 정책이 강화되고 있고, 인구 감소?고령화 등에 따른 농산업 분야의 심각한 인력 부족 문제 등 우리 농업ㆍ농촌이 마주한 여건이 녹록지 않다. 

반면,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에 국가의 인공지능 활용 역량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4차산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 급부상 등 연구개발(R&D)을 통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 같은 대내외 환경변화 속에서 농촌진흥청은 국정ㆍ농정과제의 차질 없는 이행과 과학기술의 융합ㆍ혁신ㆍ협업을 통한 활기찬 농업ㆍ농촌 실현에 조직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올해 업무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농촌진흥청의 ‘과학기술의 융합ㆍ혁신ㆍ협업으로 활기찬 농업ㆍ농촌’을 실현하기 위한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들여다본다.
/편집자주
 

▲농작업 기계화 등 농산업 현장 애로 해소

농작업 기계화ㆍ자동화 부분에서는 농촌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화가 미흡한 밭 농업을 중심으로 농작업의 전 과정을 기계화하고, 자율주행 농업로봇 개발을 확대한다.

마늘 수확기(3개소), 양파 정식기(3개소) 성능 개선을 위한 현장 실증을 확대하고, 고추ㆍ배추 정식기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또한 과수원에 특화된 자율주행 로봇 상용화를 지원하고, 로봇팔 제어 기술 연구 및 국산 로봇 착유기의 농가보급을 확대한다.

병해충ㆍ가축 질병 대응 부분에서는 기후변화 등으로 야기된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찰ㆍ방제 체계를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 방식으로 개선하고 관련 연구와 서비스를 강화한다.

중앙예찰단의 예찰 대상을 벼 한 작물에서 주요 채소와 과수로 확대하고, 고위험 병해충 대응연구와 농작물 피해 발생 시 신속 대응 서비스를 확대한다.

또한 생물안전 등급(Biosafety Level) 3등급 식물 병해충 격리 시험 연구시설 완공에 따라 고위험 병해충 대응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스마트폰 사진으로 병해충 진단이 가능한 ‘인공지능 병해충 영상진단 앱’을 보급한다.

농산물 수급 안정 지원에서는 디지털영상 기반 작황 분석을 통한 쌀 생산량 예측 및 저장ㆍ유통 기술로 수급 안정을 지원하고, 농가경영 안정을 위한 기술을 개발ㆍ보급한다.

생육과 수량을 자동 계측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영상과 센싱 기반의 ‘벼 디지털 작황관제시스템’을 확대 구축할 계획이다.
 

▲농업분야 공공 연구개발(R&D) 강화에 적극

가루쌀 생산 안정화 및 식량자급률 제고 부분에서는 저장?재배 안정성이 향상된 가루쌀 신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을 확립하고, 용도별 맞춤형 고품질 밀 품종 및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육성한다.

‘바로미2’ 품종의 수발아(穗發芽:이삭에 싹이 트는 것) 현상을 개선한 ‘전주695호’의 지역 적응 시험을 추진하고, 조기경보 기능을 탑재한 ‘수발아 발생 예측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밀가루를 대체하는 가루쌀 활용 제품(라면ㆍ국수ㆍ고추장) 개발을 지원하고, 민간 협의체와 협업해 저장ㆍ가공 이용 기술 및 정보를 확산한다.

제빵용, 면용 등 식미를 개선한 소비자 선호용 국산 밀 품종을 육성하고, 수량성과 내습성을 향상한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 개발에도 나선다.

기후변화 대응과 저탄소 실현 지원 부분에서는 신농업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2단계 사업 추진(’24~’27)으로 이상기상 등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개발 기술의 실용화를 추진한다.

중앙-지방과 연계한 기상재해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업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 지역을 확대한다.

꿀벌 수급의 안정화를 위해 ‘꿀벌자원 육성 품종 증식장’을 확대 구축하고, 우수 꿀벌 품종 증식을 위해 9개 지역에 전문 농가 육성,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사육모델을 15개 지역 250여 농가에 보급한다. 전국적으로 ‘마을별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 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스마트농업 확산 등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스마트농업 확산 부분에서는 시설ㆍ노지ㆍ축산 등 분야별 핵심기술을 실용화하고, 정보 수집ㆍ활용과 인력양성을 위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지능형 농장(스마트팜) 기반을 확대한다.

주산 작목 중심의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지구’를 2026년까지 9개소를 조성한다. 올해에는 정보 수집 등 기반을 갖추고, 향후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로봇 기술과 예측ㆍ분석 기술을 단계적으로 투입한다.

‘농업 연구개발(R&D) 정보(데이터) 플랫폼’ 활용을 지방농촌진흥기관으로 확대하고 ‘농업과학기술정보플랫폼(ASTIS)’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해 농산물 안전, 가축분뇨 등의 분석자료와 농산물종합가공 등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시군센터의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20개소)를 실습교육장으로 활용하고 개인 맞춤형 학습 제공을 위한 ‘차세대 e-HRD 종합시스템’을 구축한다.

바이오 융복합 혁신기술 개발 부분에서는 유전자원의 확보ㆍ관리와 이용 증대, 디지털 육종 등 생명공학 핵심 분야 연구 역량을 확보해 친환경 생명공학(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지원한다.

농생명 빅데이터를 확충하고 ‘농생명슈퍼컴퓨팅센터’를 활용해 디지털 육종 역량을 향상한다.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육성 지원 부분에서는 농산물, 농식품 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위한 새활용(업사이클링)과 기능성 소재화 기술 개발ㆍ보급 등 첨단 식품 기술(푸드테크) 산업화 지원을 강화한다.
 

▲농촌 활력화 및 국제기술 협력

지역농업 활성화 지원 부분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특화작목 육성과 청년 농업인의 영농 정착을 위한 기술적 지원 등 농촌의 자생력을 높이고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청은 도별 대표작목 1개를 중점 지원하고, 지자체에서는 지역별 집중육성작목 연구를 주관한다.

연구-지도-민간 기술을 결합해 지역별 특화작목 육성과 관련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사업’을 10개소에 추진하고,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신기술 시범사업에 청년농업인 참여를 확대(41종, 83개소)하고, 판촉(마케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 지원 부분에서는 가치 있는 공간으로서의 농촌 재생과 농업인 안전, 농업ㆍ농촌 자원을 활용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관련 정책을 과학ㆍ기술적으로 지원한다.

케이(K)-농업기술 글로벌 확산 및 수출지원 부분에서는 한국 농업기술 확산을 통해 국제사회의 식량안보 강화에 기여하고, 현장에서 체감하는 혁신 기술을 적용해 농식품 수출 증대를 지원한다.

농식품부의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과 연계해 ‘아프리카 벼 우량종자 생산사업’(라이스피아)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해외시장 진출용 고부가 종자ㆍ소재 사업화를 위해 한ㆍ우루과이 협력연 구실을 현지에 운영할 계획이며, 고급 농산물 수출 유망단지를 대상으로 품질관리와 상품화 기술을 지원한다. 
 

▲연구개발 혁신 추진 등 업무추진 기반 강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융복합 협업을 활성화하고, 연구관리제도 개선과 전문연구실 개편 등 연구개발(R&D)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또한 현안 해결을 위한 종횡무진 프로젝트(농작물 병해충 예찰ㆍ방제 등 8개)를 추진하고 협업ㆍ소통 오픈랩 마련 등 협업문화를 조성한다.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복과제 최소화, 융복합 규모화 등 기관 고유 과제를 재편하고, 혁신ㆍ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실패 용인, 정성 평가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국가 현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전문연구실을 통합?규모화해 세계적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농업 난제 해결을 위한 협업을 촉진한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우리 농업ㆍ농촌이 마주한 어려운 문제 해결에 민관 구분이 있을 수 없다”라며 “농촌진흥청 전 직원은 올해 농업과학기술 혁신에 주력하고, 유관 부처ㆍ산업체ㆍ대학 등과의 적극적인 협업 및 국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농산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미래 신성장 동력 확충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