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교통약자들의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책들은 더디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중증장애인 가족이 사망했을 때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이동수단이 많지 않아 장례를 지켜보지 못하는 불상사도 비일비재, 이들을 위한 사회적 배려가 절실해 보인다.

이 같은 지적은 김희수 전북자치도의회 의원(전주6)이 지난 14일 제407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 의원은 이날 “전북광역이동지원센터 즉시콜 이용자 중 휠체어를 이용하고 있는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중증장애인 가족이 사망하였을 때 휠체어가 있는 이동지원의 수가 적어 장례를 치르기 위한 이동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도내에서는 현재 전북광역이동센터 ‘즉시콜’ 서비스를 통해 장애인과 노약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위해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특별교통수단을 지원해 오고 있다.

즉시콜 이용자 수는 2021년 5801명에서 2022년 6351명으로, 지난해에는 7017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특별교통수단을 반드시 이용해야만 하는 휠체어 이용자 또한 2021년 3034명에서, 2022년 3308명, 2023년 3583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좋은 서비스가 있지만 사용상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가족이 상을 당하게 될 경우 장례식장과 화장터, 장지 등 여러 곳으로 수차례 이동을 해야 한다.

때문에 이동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에겐 즉시콜 서비스라는 특별교통수단은 필수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선 미리서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이용이 어렵다.

사전예약 7일 전 마감과 대기인원으로 장례 절차에 맞추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

그러나 상이라는 것은 언제 어느 때 일어날지 모른다.

세상에 예견된 죽음이란 없기 때문이다.

가족상으로 가뜩이나 상심이 큰 중증장애인들이 이동수단 문제로 더욱 비통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점에 주목했다.

특별교통수단을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해 위촉된 전북광역이동센터 운영심의위원회와 관련해서도 교통약자 관련 단체가 과반이 넘지 않아 교통약자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라 지적했다.

특히 매년 증가되고 있는 교통약자들의 수요에 맞춰 이동 서비스 역시 그 공급을 맞춰 나가야 한다며 대책을 주문했다.

도 집행부는 이번 김 의원의 지적을 정책에 적극 반영, 실질적 대책들로 풀어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