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 전공의에 이어 의대교수들까지 집단 사직에 나서며 의료계 파업이 ‘점입가경’ 양상이 띠고 있다.

문제는 의료대란으로 국민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80대 노인의 생명까지 앗아가는 사건이 벌어져 논란이 인 바 있다.

그런데 최근 또 다시 사직 행렬이 진료 축소로 이어지며 부산에서 진료거절을 당한 90대 심근 경색 환자가 울산 병원으로 옮겨 치료받던 중 숨진 일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단 소식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한 의정(醫政) 간 대화창구 마련도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이를 지켜보는 환자들은 '사태 장기화'를 걱정하고 있다.

부산의 한 공공병원에서 심근경색 진단을 받은 이 환자는 긴급시술을 받기 위해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 전원을 문의했지만, 거절당하고 10㎞가량 떨어진 울산의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환자의 유가족은 처음 시술을 거부한 대학병원에서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를 보건복지부에 신고했다.

의료 대란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와 진료를 계속 받아야 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은 장기화된 의료 사태에 울분을 토하고 있다.

의료공공성강화 전북네트워크는 27일 전북특별자치도의사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의사단체는 진료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는 “의사와 정부의 ‘강대강’ 대치로 직접적인 피해를 보는 것은 환자들”이라며 “진료 차질이 장기화하면서 환자들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환자를 위하는 길은 ‘선 진료 정상화, 후 사회적 대화’”라며 “정부는 의사들을 벼랑으로 내몰지 말고 국민이 동의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화 자리를 만들고, 의사들도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겠다고 선언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공의료 논의는 쏙 빠진 채 의대 정원만 확장하는 정책은 총선을 어떻게든 이겨보려는 꼼수”라는 게 이민경 민주노총 전북본부장의 주장.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환자는 물론 병원 직원들도 피해를 보기는 매한가지다.

원광대병원 노조는 중단된 병동의 간호사들에게 연차를 강제 사용하도록 하고 정부는 불법이라했던 진료지원(PA) 간호사를 권장하면서도 그 사고에 대한 책임을 간호사에게 지우고 있다며 현재의 불합리성을 비난하기도 했다.

생명까지 앗아간 의료 대란.

제 자리를 찾기 위한 정부와 의사단체간 대타협의 시간이 하루빨리 도래할 수 있길 많은 이들이 손꼽아 고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