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포커스 – 향토문화연구 심포지엄 지상중계










문화포커스 – 향토문화연구 심포지엄 지상중계

 

21세기는 문화경쟁의 시대다. 나아가 세계화 시대의 경쟁우위 또한 지역 문화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럼에도 지역문화의 현실은 변방문화로 취급되면서 철저하게 소외돼 있다. 과연 지역문화의 발전방향은 있는 것인가? 지난달 29일
전북문화원연합회(회장 이복웅)는 전문가들을 초청, ‘지역문화 발전의 방향모색’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는 과도기 ‘지방문화원’이 향토문화를 발굴하고
보존·감시해야 한다는 역할로 거듭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으며
‘정치가 죽어야 지역문화가 살 수 있다’는 주장도 잇따랐다. 이날 심포지엄 내용을 지상 중계한다.

 

◇지역문화 발전의 방향과 과제(천형균 전 군사대 사학과 교수)=천형균 전 교수가 주장하는 지역문화
발전의 핵심은 문화 고유성을 지켜내는 것.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현재성도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선 지자체의 획기적인 재정확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 문화연구 종사자들도 전문가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전문가 양성은 철저히 대학의 몫이라는 것이 그의 설명. ‘지방문화원’도
인턴제 등을 도입해 이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실무와 이론을 겸비할 수 있도록 동참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방문화원’의 의식전환도 혁신이 필요한 대목. 독립기구로 탈바꿈해야 명실공히 지역문화 산실로 정착할 수 있다고 목청을 돋웠다.

그가 보는 전북의 대표적 지역문화는 판소리와 비빔밥, 한옥 등. 이들의 명성이
쇠퇴하지 않고 창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선 획일화나 매너리즘 극복이 우선이고, 이후 전통과 현대화를 절충하는 작업이 동반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지방화시대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나종우 원광대 사학과 교수)=나종우 교수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은 단체장들의 문화 마인드가 초점. 역점사업으로 우선순위를
두는데 이어 문화행정의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단체장들이
전시행정으로 문화를 악용하는 사례가 많다며 즉흥적인 착상이나 정치적 낯내기, 이권단체 권익 대변 등을 당장 그만 둬야 문화행정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문화 향수권자인 도민들이 똑똑한 소비자가 돼야 함은 물론 문화단체 활성화, 지역문화에 대한 홍보와 교육, 문화권력 해체 등이 이뤄져야 비로소 문화 살리기가 가능하다는 논리. 전통문화 발굴과 계승·보존은 정체성 확립을 좌우하는 만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강변했다.

지방문화원의 역할정립에 대한 대안제시도 빼놓지 않았다. 회원제 등을 통해 규모를
늘려야하고, 전문가와 향토사가들이 참여한 ‘향토사’ 발간 등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 나아가 향토문화 발굴과
보존·계승의 주체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역문화 정책의 현재와 미래(김복현 익산문화원장)=김복현 원장 역시 지역문화 살리기의 주체는 ‘지자체’로 꼽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정치적 논리나 문화적
상업주의·경제주의 등이 죽어야 문화가 산다는 입장. 더불어 간섭은 최소화 하되 지원을 최대화하는 ‘팔걸이 원칙’도 지켜주길 주문했다.

그가 보는 지역문화는 지역의 뿌리찾기와
맥락이 닿아 있다. 당장 돈벌이가 되지 않는다고 투자를 게을리하면 결국 뿌리찾기는 공염불에 그칠 공산이 크다며 단체장들의
선진화된 문화마인드를 강조했다.

김 원장은 “전통문화의 지나친 상업화로 뿌리를 망각하는 일면도 있다”며
“특히 문화정책을 표와 연결시키는 사례들은 지양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김영애기자 young@jjn.co.kr

 

※알림=본 심포지엄을 주최한 전북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 발전의 방향 모색’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나종우 교수 지적대로 중앙과의 대척점에 있는 ‘지방’은
적절하지 않아 ‘지역’으로 통일한다. 언어가 의미를 결정하는 만큼, 용어선택에 신중을 기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