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











[고건]

노무현 대통령의 고건 전 총리 비판 이후 노-고 대립이 정계개편 주도권을 잡기 위한 생존게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번 대결에서 살아남는 자는 향후 정계개편 가도에서 주도권을
잡게 되지만 패배할 경우에는 사실상 정치 생명이 종료될 수도 있어서다.

흥미로운 것은 노 대통령이 고 전 총리를 비판하면서 오히려 고 전 총리가 유리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이다. 노 대통령의 지지율이 한 자릿수인 상태를 고려하면 고 전 총리는 노 대통령과 일정 선을 긋는 게 대선 국면에서 한층 유리하다.
그러나 고 전 총리가 참여정부의 초대 총리를 지냈다는 점에서 그를 발탁한 노 대통령과의 선 긋기는 쉽지 않은 일.

이런 상황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노 대통령이 고 전 총리의 길을 터
준 셈이다. 노 대통령이 고 전 총리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고 전 총리가 노 대통령에 대한 반격에 나설 수 있게 된
것이다.

예전의 고 전 총리 성격으로 보면 노 대통령에게 직접 반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고 전 총리는 자신에 대한 노 대통령의 공격에 정면 응수하고 나섰다.

고 전 총리의 강력한 응수 배경은 자신의 정치생명과 직결돼서다. 노 대통령의 고건
비판은 여권내에 불고 있는 범여권 통합신당 분위기를
가라앉히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때문에 범여권 통합신당의 선장이 되고자 하는 고 전 총리로선 정면대응할 수밖에 없는 것.

결과적으로 고 전 총리의 반격은 여권내 통합신당 세력의 입지를
강화해주고 있다. 특히 호남이라는 지역적 기반을 안고 가야 하는 범여권은
노 대통령 대신 고 전 총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여러 상황을 감안한 고 전 총리는 결국 노 대통령에 대한 정면 대응을 통해, 범여권 통합신당론 확산과 지지세력 결집이라는 두 마리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

반면 노 대통령으로선 범여권 신당이 힘을 받을 경우 자신의 정치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고 전 총리를 비판, 당내외의 친노세력을 끌어안겠다는 의도를 보였다. 그러나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다.

이처럼 두 인사의 정치적 상황이 엇갈리면서 고 전 총리와 노 대통령간 대립구도는 정계개편 가도에서 더욱 날카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선 고 전 총리가 대응을 자제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양측이 이미 루비콘강을 건넜다는 시각이 많아 종전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서울=김일현기자
kheins@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