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장 한가운데서










옷장 한가운데서

 

  오래 전부터 치우리라고 마음만 먹고 있던
옷장 안을 정리했다. 입던 옷을 제멋대로 걸어 놓기만 하고 정리를 안 하다 보니 급하게 외출이라도 하려면 찾는 옷이 도무지 보이지 않고

결국은 짜증만 내다가 다른 옷을 입고 나간다. 직업이 직업인지라 이래저래 생긴
옷들이 옷장 안에 꽉 들어차 있지만 막상 입으려고 보면 입을 만한 옷도 없다.

“언제 큰 맘 먹고 안 입는 것들은 버려야지”하고 미루다 보니
옷들이 뒤엉켜서 어떤 옷이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해가 가기 전에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에
날을 받아 옷정리를 시작했다. “한나절이면 충분하겠지”하고 시작한 것이 저녁이 다 되도록 끝나지 않았다. “내가 이렇게 욕심이 많은 사람이었나”싶은 생각에 스스로가
한심해지는 기분을 어쩔 수 없었다.

한번도 입지 않은 것에서부터 대학 시절에 입던 것들까지 이 좁은 장안에 이렇게 많은 물건이 들어갈 수 있었다니
조금 황망스럽다. 어떤 옷을 버리고 어떤 옷을 간직할 것인지를 두고 따르는 고민도 생각 이상이었다. 판단이 어려워
몇 번씩이나 “이거? 아니면 저거?”하고 이리 뒀다
저리 두면서 몇번씩이고 뒤척이곤 했다. “더하기는 쉬워도
덜기는 어렵다더니” 잘 버리는 일의 고통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

함께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옷들이지만, 아무 느낌이 없는 옷도 있고 특별한 의미를
생각나게 해주는 것들도 있다. 비록 오래되고 유행에 뒤쳐졌지만 간직하고 싶은 것도 많다. 어떤 옷은 잃어 버렸던 기억이 되 살아나기도 하고, 지나온
시간의 특정한 순간이 떠오르기도 했다.

옷장을 정리하는 일이 마치 지난 20년간의 삶의 순간들을 거슬러 올라가는 여행과
같다. 이렇게 반추해야 할 시간들이 많이 쌓여 있는 걸 보면 이젠 적지 않은 나이에 이르렀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동시에 좀 더 부지런히 살았어야
했는데 하는 반성도 따른다.

옛일을 되돌아보는 일이란, 이처럼 생에 대해 숙연하게 하는 기묘한 힘이 있다.
당나라 진자앙(陳子昻)의 시에 따르면 “앞으로는 옛사람을 만날 수 없고, 뒤로는 오는 사람을
만날 수 없다”는 명구가 왜 그렇게 적절하게 느껴지는지. 전에 그냥 지나쳤던 의미가 새록 새록 파고든다.


이제서야 버릴 옷에 대한 생각이 미친다. 버린 옷을 그 누군가가 입어도 좋고,
찢어져서 걸레가 되어도 좋다. 그 동안 옷장 속에 묵어있던 옷들이 주인을 원망했을 것도 같다.

어릴 때 할머니가 들려준 이야기 한 토막이 이런 생각을 자꾸만 재촉한다. “어린
도령이 엽전을 너무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 속에 넣어 두었더니, 그 도령이 장가갈 때 여러 가지로 방해했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물건도 사람의 감정도 막힘이 없고 적절한 순환을 가져야 한다. 오랫동안 묶어 두었던 나의 헌 옷들도
적절한 순환이 필요했을 것이다.

내내 팽개쳐두었던 옷장을 정리하면서 느껴지는 단상들도 여러 색깔로 순환했다. 단지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였지만 말이다.

벌써 새해가 다가온다. 해마다 상투적으로 해오던 말이 올핸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아무래도 옷장정리 때문일 것이다. 정말로 묵은 감정은 과감히 떨쳐 버리고 떠오르는 해처럼 마음 속 추위도 싹 보내버리는 신나는 한해를 맞고 싶으다.
/ 최미현 (패션 디자이너)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