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창출사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에 따르면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매년 도비와 시군비 50억원을 투입해 중소기업인력지원 및 산ㆍ학ㆍ관 커플링ㆍ지역고용개발특화ㆍ맞춤형기업인력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청년실업률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및 보완이 절실하다.

전북도와 통계청에 따르면 일자리 창출사업 실시 첫해에 8.1%였던 도내 청년실업률이 이듬해엔 11.5%까지 치솟았고 4년 째인 올해도 9.5%를 보이고 있어 전혀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도내 전체 실업률은 같은 기간에 3.2%에서 2.5%로 낮아져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청년실업률이 줄지 않는 것은 취업대상 기업들이 대부분 저임금에다 3D업종이어서 직업교육을 이수한 청년들이 취업을 기피하거나 취업해도 중도에 사퇴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구직자는 다시 실업상태로 남게 되고 기업은 계속 구인난을 겪게 돼 사업효과가 전혀 없게 된다. 취약한 취업환경으로 야기되는 현상이라 하겠다. 그런데도 청년 일자리 창출사업은 여전히 직업교육에만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나 다름없다. 마땅한 일자리도 없는 상태에서 취업인력만 양성하는 행태로는 실업률이 낮아지길 기대하기 어렵다. 제조업의 열악한 취업환경에서는 현재와 같은 제조업 위주의 취업교육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제조업 위주의 직업교육체제를 서비스업이나 숙련공 양성체제로 전환하는 등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일자리 창출사업을 개선해야 한다.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예산 및 행정력 낭비를 초래 할 뿐 의미가 없다. 그리고 기업의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청년 취업난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체제개선 및 보완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