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구상하고 있는 전북혁신도시에 대한 차별화 전략이 다소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도가 전북혁신도시의 두 가지 기능인 농생명과 국토개발 기능 중한 가지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9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이명박대통령이 지난 2일 제시한 ‘혁신도시에 대한 지역특성에 맞는 차별화 전략수립 지시’와관련해 농생명 기능을 보강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실제 도는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의 핵심으로 간주되고 있는UR(University Research)을 혁신도시로 이전할 공공 기관인 농촌진흥청(산하기관 8개) 등을 연계 시켜 나가겠다는 것.이 같은 입장은 새만금과 혁신도시를 연결시켜 정부의 ‘돈버는 농업’ 방침과 궤를 같이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전북의 상황을 고려한 방침이란 점에서 좋은 아이템이라는 평가를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도는 혁신도시 전체면적(320만평)의 5.67% 가량의 유보지를장기저리 임대로 첨단산업 관련 기업에 제공, 유치할 계획이다.

하지만 문제는 도가 나머지 대표기능인 국토개발 기능에 대해선 ‘나 몰라라’로 일관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예산절감 및 조직슬림화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통폐합되는 것이 유력한 만큼 도가 관여하기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토지공사가 전북혁신도시에서 차지하고 있는 상징성 등을 감안해 볼 때 이 같은 태도는 바람직스럽지 않다는평가를 받고 있다.

토공과 주공이 통폐합될 가능성이 높다면 통합조직을 전북혁신도시로 끌어 오기 위한 논리개발에 도가 적극 나서야함에도 손을 놓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제는 농촌진흥청의 출연연구기관으로의 전환을 아예 염두에 두지 않은 채 농생명 특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진청의 연구기관 전환은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하는데다가 현재정부가 이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지만 강행될 때에 대비한 대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데도 검토대상에서 빼고 있는 것. 이와 관련 일각에선 “차라리 국토개발 기능을 타 혁신도시로 보내고 전국10개 혁신도시의 농생명 기능을 몽땅 전북혁신도시로 가져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혁신도시 특성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도 관계자는 “대통령이 지역특성에 맞는 혁신도시 건설전략 수립을 시도지사에게 요구한 만큼 고민이많은 게 사실이다”며 “도가 현재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혁신도시 건설 방향은식품산업의 UR기능과 농업연구기능을 접목시키는 것과 혁신도시 내 기업유치 및 정주여건 조성 등이다”고 말했다.

한편 토지공사가 전북혁신도시에 둥지를 틀 경우 연간 138억 여 원가량의 지방세 수입이 보장될 것으로 보인다.

/김현철기자 two9496@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