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빠르면 22일 발표할 대국민 담화문이 최근 얽히고 설킨 국정운영의 실타래를 풀어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가 이번 대국민 담화를 '광우병 파동'으로 인한 국민과의 불화을 타개할 일종의 '국면 전환용 카드'로 빼 들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이 대통령의 정면 돌파가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가질지 주목받고 있는 것.전날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광우병 파동' 관련 대국민 사과를 제안한터라 이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 여부도 관심 포인트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다만 "논의하다 보면 이런저런 가닥의 주장이 있기 마련인데 그게 꼭 '유감표명' '사과'라고 결정되진 않았다"면서 "'사과'가 들어갈지 뭐가 들어갈지 잘 모르겠다"고 신중론을 폈다.

이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사과'를 할 경우 국민들의 격앙된 정서가 극적으로 가라앉을 수도 있지만 이후 적절한 후속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비난 여론의 기폭제가 될 위험 부담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담화 발표가 야당과의 협조관계를 모색할만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손 대표의 제안을 일부 수용하는 모양새를 갖추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17대 국회 회기 내 처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이외에도 최근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강재섭 대표,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와의 '릴레이 회동'이 별다른 성과없이 끝나 '상처 뿐인 만남'이 됐다는 일각의 지적도 나오고 있는터라 이번 담화 발표의 비중은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더불어 강재섭 대표가 이 대통령에게 "야당 대표들을 만나 보라"고 건의한 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손 대표와의 회동을 결정하는 등 청와대 정무 라인의 즉흥적인 일 처리도 도마에 올랐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단독 회동인만큼 사전에 일시는 물론 의제, 합의문에 대해 철저한 조율 작업을 했어야 하는데 이를 소홀히 해 결국 '모양새'가 안 좋게 됐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은 회동 내내 17대 국회 회기 내 한미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촉구했지만 손 대표가 '선(先) 쇠고기 재협상 후(後) 한미FTA 처리' 입장을 철회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합의 도출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강 대표와의 정례회동도 비판 대상이 되기는 마찬가지였다.

당초 강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당론을 모은 '국정쇄신안'을 건의할 예정이었지만 정작 이 대통령을 대면하자 쇄신의 '쇄'자도 꺼내지 못했다.

'대통령에게 직언(直言)도 못 하는 여당 대표'라는 비난이 쏟아지자 강 대표측은 뒤늦게 "책임총리제 등 쇄신안을 건의했었다"고 토로했지만 당 안팎의 비판 기류는 가라앉지 않았다.

이는 최근 '소통'과 '화합'의 메시지를 역설하고 있는 이 대통령에게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청와대 내부는 물론 집권 여당 총수조차 충언(忠言)을 조심스러워하는 상황으로 비춰, 이 대통령이 상생의 정치보다 자신의 의지에 방점을 찍은 정치를 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부각시켰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와의 회동은 차라리 '안 하느니만 못 한 회동'이란 질타를 받았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박 전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환담을 나눴으나 친박계(親朴系. 친 박근혜계) 인사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되려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회동 이후에는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차기 당 대표를 제의했는지 여부가 도마에 올랐다.

양측은 각각 "제의했다" "하지 않았다"며 '진실게임'을 벌여 당내 화합이라는 당초 회동 목적을 무색하게 했다.

취임 100일이 다가오는 가운데 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계기로 정국 경색국면을 돌파, 향후 국정운영의 동력으로 삼을지 주목된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