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이 단기 생산기술 위주의 일회성 교육인 데다 기존 농업인에 치중, 신규 후계농 양성교육 부재 등 문제점을 드러내면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는 농업인력개발원과 특성화사업단, 지역농업연구원 등의 교육기관에서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정보화, 전문·환경농업, 농기계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이뤄진 농업인 교육은 기관별 교육프로그램이 중복되고, 시·군별 전략품목의 조직화·규모화·브랜드화를 위한 교육 대신 백화점식 다양한 품목에 대한 단기 생산기술에 치중했다는 평가다.

생산기술 위주 관행교육과 불러모으기 식 교육, 평준화된 교육 등 차별적·수준별 교육기반이 취약한 점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또 농업인력개발원의 경우 비전문가인 공무원이 교육과정을 설계하다 보니 수요자인 농업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것. 특히 낮은 강사비 등으로 양질의 교육제공 또한 미흡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지역 농업여건과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시책 없이 농식품부 등 중앙부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가 하면 기존 농업인에 치중, 도 자체 신규 후계농 양성교육 부재로 농업·농촌 인력의 고령화 또한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밖에 농림사업과 교육이 분리돼 추진되면서 정책과 농업인의 정책수용 역량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농업인 교육기관이 제 역할을 못하는 데는 농업인 교육기관을 한 데 묶는 협의체 등을 구성, 조정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교육기관마다 제 각각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다 보니 교육이 중복되거나 형식적으로 운용되는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에 도 농정당국이 신규 후계농 양성교육 강구 및 농업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구축 등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도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협중앙회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농업교육혁신 TF팀을 이달 중 구성해 농업인교육협의체를 구성, 도와 연계하고 교육중복 및 자원 공동 활용으로 시너지 효과를 얻어낸다는 복안이다.

도 관계자는 “교육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효율적인 농업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TF팀 구성 등의 대책을 마련,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규호기자 hoho@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