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이 죽을 맛이다.

오죽하면 ‘정부가 농민을 잊어 버렸다’라는 얘기가 들려올 정도다.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가 한창일 때 내놓은 한우축산농가 지원 대책도 비료, 사료 농자재 인상 러시에 내놓던 정책도 농민들을 달래기엔 한참 부족해 보인다.

특히 쌀농사를 짓는 농가들의 불만이 높다.

지으면 지을수록 손해 보는 줄 알고도 짓던 쌀농사지만 올해는 너무 힘들다는 게 농민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지난해 여름 1만원 안팎이던 살 수 있었던 요소비료는 값이 폭등해 올해는 2만원을 훌쩍 넘었고 복합비료도 두 배가 넘게 올랐다.

여기에 기름 값의 가파른 인상은 면세유는 물론 각종 농자재 값 인상을 불러왔던 것이다.

이러다 보니 로터리, 콤바인, 이앙기 등 농기계 임대료도 지난해에 비해 40% 이상 올라 생산비 압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고질적인 농번기 일손부족까지 따지면 정말 한숨만 나올 지경이다.

이렇듯 쌀 생산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 쌀값은 오르지 않는다.

농민들은 지난해 도정안 한 쌀 40kg 한 가마 값이 4만9천원이었는데 올해는 올라봤자 5만3천원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농사짓는 게 빚을 떠안는 '수렁‘이 된다는 얘기가 나 올 법도 하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농업정책이 농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다.

기름 값이 오르자 정부가 내놓은 유가연동 보조금제도나 비료 값 인상차액 보전제도는 농민들로부터 ‘생색내기’정도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 농촌 농민문제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산업화 이후 수많은 정부 정책이 수립되고 집행됐지만 농민의 어려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농업을 축산농가, 원예농가, 쌀 농가 모두 농촌을 지키는 대가로는 너무 가혹한 고통을 강요받고 있다.

정부의 농업정책이 좀 더 농민 친화적이어야 한다.

농업이 ‘천형’이 아니라는 사실을 정부가 나서서 증명해야 할 시점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